역사적인 인천아시안게임(인천AG 9월19일~10월4일)이 꼭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제 모든 준비를 끝내고 마무리 작업을 점검하며 카운트 다운에 들어갈 중요한 시기다. 그런데도 인천AG 조직위원회와 인천시교육청의 공조체계가 흔들리면서 마찰음을 내는 것은 볼썽사납다. 특히 인력 파견 등 대회 운영과 직결되는 사안을 놓고 드러낸 두 기관의 갈등은 한 결같이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염원하는 시민 총화(總和)를 해치는 일이다.
인천AG 조직위는 지난달부터 종목별 협회와 논의, 시교육청에 일선 학교 운동부 지도교사 등을 대회 지원 요원으로 파견해줄 것을 요청해왔다. 이는 아시아경기대회 지원법에 의거, 조직위가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력에 대해 관련 행정기관 등에 파견을 요청할 수 있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국제대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시교육청은 대회 지원 파견에 따라 소요될 대체 인력(기간제 교사)의 인건비 부담 등을 이유로 파견을 거부하고 있다. 파견되는 인력 인건비는 물론 파견 교사 자리를 메울 대체 인력 인건비까지 모두 부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설령 조직위 요구에 응하더라도 조직위가 중구난방 식으로 요구해 이에 소요될 인건비 예산 추정이 어렵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결국 두 기관의 갈등 요인은 파견 인원에 대한 인건비 문제에서 비롯되고 있다. 상식적으론 파견 인력에 대한 인건비는 이를 요청한 조직위가, 대체 인력 인건비는 시교육청이 부담해야 옳다고 본다. 이치가 이런데도 계속 실랑이를 벌이는 건 소모적 논란에 불과하다.
두 기관은 경기장 입장권 판매 협조에 대해서도 티격태격하고 있다. 조직위가 입장권 판매 실적을 올리기 위해 학생들의 경기 관람 확대를 요구한데 대해 시교육청은 이미 일선 학교에 현장체험학습을 경기 관람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안내하는 등 최대한 협조하고 있다며 그 이상 학생들에게 입장권을 강매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시교육청의 미온적 태도는 자칫 시민들의 협력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는 협조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걸로 비쳐질 수도 있다. 좀 더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협조 자세가 필요하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조직위가 애초 대회 계획을 세울 땐 시교육청을 배제해 놓고 이제 와서 툭하면 협조를 요청해 답답하다”며 시교육청이 처음부터 소외된 것에 대한 서운함을 토로했다. 매너리즘에 빠진 조직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조직위는 이제라도 국민적 관심과 참여 분위기 조성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