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환갑’ 도민체전 개최 논란 해법은?

지난 4월16일 안산 단원고 수학여행단 320명 등 486명을 태운 여객선 ‘세월호’의 진도해역 침몰로 인해 300여명의 희생자(실종자 포함)를 내는 사상 최악의 해양 사고가 빚어지면서 온 국민이 충격과 슬픔에 빠져있다.

사고발생 보름여가 지났지만 아직도 80여명의 실종자가 구조되지 않은 채 사고대응 초기부터 계속되고 있는 정부의 우왕좌왕하는 모습과 속속들이 드러나는 사고발생의 문제점 등 총체적인 난맥상에 국민들의 분노와 정부에 대한 불신감은 커져만 가고 있다.

세월호 사태로 인해 연중 가장 행사가 많은 4ㆍ5월, 각종 축제와 행사가 대부분 취소되거나 연기됐다.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슬픔을 함께 나누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지난 4월30일부터 5월2일까지 3일간 안성시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도민 화합체전’인 제60회 경기도체육대회(도민체전)도 개막을 불과 보름 앞두고 벌어진 세월호 참사로 인해 지난달 18일 무기한 연기 결정을 내렸다.

개최지인 안성시를 비롯, 도내 31개 자치단체들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학생 300여명이 포함된 세월호 승선자들의 생사도 모르는 상황에서 대회를 치르는 것이 옳지 않다는 데 뜻을 모은 결과다.

실종자들의 수색이 장기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무기한 연기된 도민체전의 개최 여부를 놓고 개최지 안성시와 주최 측인 경기도체육회, 후원인 경기도가 딜레마에 빠졌다. 개최지 안성시 입장에서는 도비와 시비를 합해 총 80억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해 경기장 신축 및 증ㆍ개축과 대회 준비를 모두 마친 상황에서 세월호 사태가 어느정도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되는 6월말 개최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도와 도체육회 등은 세월호 실종자의 구조가 5월 중으로 마무리된다해도 사태 뒷수습과 오는 6월4일로 예정된 동시 지방선거, 전국규모 대회 일정, 각 시ㆍ군별 대회 준비기간 필요 등 많은 어려움이 뒷따를 것으로 예상돼 도민체전의 6월 개최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시ㆍ군들의 입장 또한 복잡하다. 지방선거를 한달여 앞둔 상황에서 각 정당의 지방자치단체장 후보가 속속들이 결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도민체전 준비를 총괄해야 할 시ㆍ군체육회 사무국장들이 대부분 현직 자치단체장들의 측근으로, 자치단체장의 후보 확정과 동시에 사표를 내고 선거 캠프에 가담하는 지역이 상당수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러 정황으로 볼 때 6월 개최는 불가하다는 게 도와 도체육회의 설명이다.

다음 대안은 혹서기인 7ㆍ8월을 넘기고 민선 6기 출범 이후인 가을 개최다. 하지만 이 또한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오는 9월19일부터 10월4일까지 펼쳐질 제17회 인천 아시아경기대회가 경기도에서는 9개 종목이 열리게 돼 종목 관련인사 상당수가 대회를 전후해 진행요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어 10월28일부터 11월3일까지 일주일간 제95회 전국체육대회가 제주도에서 열릴 예정이어서 사실상 도민체전의 9ㆍ10월 개최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관련 체육계 일각에서는 도민체전의 취소론과 내년 안성시 개최, 2016년 포천시(2015년 개최지) 개최 방안, 9ㆍ10월 중 안성시에서 종목별 대회로 치르는 방안 등 여러가지 안이 대두되고 있다.

연내 개최를 요구하는 여론은 올해로 ‘환갑’을 맞이하는 도민체전의 무산은 불가하다는 입장과 함께 중소도시 안성시가 2년여 동안 공을 들여 준비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취소 여론은 여러모로 불가피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대회를 치를 필요성이 있느냐는 주장이다.

최악의 참사로 온 나라가 비탄에 빠진 가운데 과연 도민체전 개최가 능사인지, 아니면 사태가 진정된 이후 경기도 체육발전을 위해 어떤 형태로 치뤄야 하는지 도와 시ㆍ군이 함께 ‘솔로몬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황선학 체육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