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시작한 지방선거 후보들 ‘SOS’

젊은층 공략 ‘SNS 선거전’ 위력 알지만 “우린 그냥… 발품 팝니다”
50대 후보들 “너무 어려워” 뉴미디어戰 걸음마 수준

“페이스북에 가입하긴 했는데, 영 어렵더라고요. 전 그냥 돌아다니는 게 편합니다.”

이번 6·4 지방선거부터 SNS 선거운동의 문이 활짝 열렸지만, 후보자들의 SNS 활용도는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

23일 선거관리위원회와 각 후보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SNS 등 인터넷을 활용한 선거운동이 전면 허용됐다.

주로 젊은 층이 SNS를 많이 이용하는 만큼 선거정보 제공, 선거비용 절감, 투표율 상승 등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입 취지와 달리 지방선거가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현재까지 SNS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출마자는 손꼽을 정도다.

대부분 출마자가 50대 이상으로, 스마트폰을 비롯한 SNS 문화를 낯설어하고 있다.

출마자 대부분은 페이스북 등 SNS 계정을 만들었지만, 이 중 상당수는 활용 빈도가 극히 낮다. 페이스북 계정 중 대부분은 프로필 게재 이후 별다른 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아예 선거 캠프나 외부업체에 SNS를 위임해 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한 예비후보는 그나마 배우기 쉬운 카카오톡조차 낯설다며 문자로 대량의 메시지를 발송하다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구두경고를 받았다.

일부 출마자는 SNS의 효과를 불신해 온라인 활동은 하지 않은 채 조직이나 인맥 관리에만 몰두, 유권자와의 소통의지를 의심받기도 한다.

결국, SNS를 통해 만나고 싶은 유권자와 SNS를 낯설어하는 출마자들 사이에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미스 매칭’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부평지역 한 예비후보는 “스마트폰도 어려워 문자만 겨우 하는데 바쁜 일정 사이에 스마트폰을 붙들고 있을 새가 없다”며 “보이지도 않는 사람보다 발로 뛰며 한 명이라도 더 만나는 게 낫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