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판 커진 인천시장 선거, 정책대결로 축제 만들자

유제홍 인천본사 정치부장 jhyou@kyeonggi.com
기자페이지

인천시장 선거가 6ㆍ4 지방선거의 최대 승부처로 떠오르고 있다.

여권이 6ㆍ4지방선거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인 유정복 전 안전행정부 장관이 인천시장 선거에 나섰으니 당연한 이치다.

박 대통령에게도 이번 지방선거는 남은 임기 동안의 국정을 얼마나 주도적으로 펼칠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포인트이다.

당내 중진을 총 동원한 여권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승리한다면 박 대통령은 임기 말까지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 할 수 있겠지만, 반대로 패한다면 레임덕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여권이 지방선거에 총력전을 펼칠 수밖에 없고, 특히 박 심(心)을 업고 출마한 유 전 장관도 물러설 수 없는 형국이다.

범여권 차원에서 유 전 장관의 선거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는 추측들이 난무하는 이유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송영길 인천시장은 (유 전 장관이 새누리당 최종 후보로 나선다면) 야권의 차세대 대권 주자 중 한 명의 자격으로 정면 승부로 맞설 각오다.

송 시장에게 유 전 장관은 가장 어려운 상대에는 틀림없지만, 유 전 장관을 상대로 승리한다면 변방의 한 차세대 대권 주자에서 유력한 주자로 급부상하는 정치적 기회로 삼을 기세다. ‘고 위험 고 수익’(high risk high return) 게임인 셈이다.

여하튼 인천시장 선거가 ‘송영길 VS 유정복’ 구도로 치러 진다면 6ㆍ4 지방선거의 핵심으로 떠오르게 된다.

재선을 통해 차 세대 주자 입지를 굳히겠다는 송 시장, 현 정권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유 전 장관, 인천으로서는 나쁠 게 없는 구도이다.

문제는 선거전 양상이다.

역대 인천시장 선거 중 가장 좋은 구도인 만큼 정책 대결을 통해 인천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네거티브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양측은 인천시의 재정 부채 증가 책임 공방과 유 전 장관의 ‘낙하산 출마’ 등을 놓고 벌써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부채 책임 공방보다는 문제의 원인분석과 해결책을 제시하고, ‘낙하산 출마’ 공격보다는 유 전 장관의 시장 수행 능력과 정치적 소신을 검증하는 정책 선거가 필요하다.

송 시장과 유 전 장관은 정치적으로는 여ㆍ야 대결 관계이지만, 정책적으로는 공동 현안을 갖고 있다. 당면한 현안으로는 2014아시아경기대회의 성공개최가 있고, 장기적으로는 통일 문제가 그 것이다.

이 두 가지 현안은 인천과 대한민국, 즉 인천시장과 중앙 정부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특히 최근 들어 주요 이슈로 부상하는 통일 문제는 송 시장과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공동 관심사이기도 하다.

인천과 대한민국의 대박 프로젝트인 통일문제가 이번 인천시장 선거를 통해 한 걸음이라도 앞으로 나갈 수 있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박 대통령이 사생결단 각오로 추진하고 있는 규제 개혁을 통한 경제 창출도 인천과 일맥상통한다.

최근 카지노복합단지 사업의 사전 심사가 통과된 영종도의 후속 규제 완화(무비자허용 등)와 수도권 규제 개혁 등이 그 것들이다.

이번 인천시장 선거는 인천과 중앙 정부 간의 정치ㆍ경제적 교집합이 가장 큰 시점이라는 점에서 그 어느 선거보다 중요하고 희망적이다.

‘어느 후보가 덜 나쁠까?’라는 고충보다, ‘좋은 후보 중 누가 더 좋을까?’라는 행복한 고민에 빠질 수 있는 인천시장 선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유제홍 인천본사 정치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