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셈 드러낸 김상곤에 교육계 술렁

교육계, 교육감직 정치입문 교두보 우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사퇴에 대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교육의 정치예속화 또 하나의 사례될 것”이라며 강도높게 비판하는 논평을 내는 등 교육계가 술렁이고 있다.

교총은 4일 “김상곤 교육감의 자유의사에 따른 선택이었지만 경기교육을 책임진 교육감이 교육에 전념하기 보다는 그간 행한 행보뿐만 아니라 최종 선택이 지극히 정치적이었다는 평가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논평했다.

이어 “교육감직 사퇴 후 도지사 출마가 현실화 될 경우 교육감직이 정치입문의 교두보로 전락하는 나쁜 선례로 남지 않을까 크게 우려한다”고 덧붙였다.

교총은 또 “안정적이어야 할 교육현장은 술렁대고 교육의 정치예속화를 뼈져리게 느끼게 됐다”며 “김 교육감은 헌법가치인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훼손과 교육의 정치예속화를 더욱 가속화시켰다는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교육혁신을 통해 민생을 살린 경험’으로 내세운 ‘보편 복지’와 ‘혁신 교육’ 또한 포퓰리즘 교육정책의 전형으로 교육현장의 갈등과 어려움이 지속되는 정책”이라고 정면 비판하며 “잘못된 김상곤 표 3대 교육정책은 반드시 수정되거나 폐기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원들도 어수선한 분위기를 감추지 못했다.

이날 김 교육감은 기자회견 직후 과장급 공무원들과 점심식사를 하며 사퇴에 따르는 입장 등을 전달했으며 오후시간에는 북부청사 및 본청 직원들과 인사를 한 뒤 오후 5시께 교육감으로서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떠났다.

그러자 교육공무원들은 김 교육감의 향후 행보에 대한 관심과 함께 앞으로 전개될 교육감 선거로 어떤 인물이 다시 경기교육 수장이 될지, 이로 인한 조직 재편과 인사방향 등을 가늠해 보느라 하루종일 뒤숭숭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