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다스의 손’ 김기춘 구리새마을금고 이사장
“어려운 여건에도 서민들의 금융기관으로 거듭나고자 직원들과 힘을 합해 자산증액을 성취해냈습니다.”
구리시 금융계의 ‘미다스의 손(Midas touch)’으로 불리는 김기춘 구리새마을금고 이사장(69).
김 이사장은 지난 1999년 IMF등으로 인한 최악의 금융상황에도 불구, 사금융권으로 오해받았던 금고의 위상을 현재의 건실한 금융기관으로 성장시킨 장본인이다. 김 이사장은 당시 교문새마을금과와 수택새마을금고를 합병, 구리새마을금고로 새롭게 태어난 시점에 현직을 맡았다.
하지만 최악의 금융위기에 휘청이는 금고의 총 자산이었던 180억원(공제유효계약고 80억원)을 15년 후인 지난해 9월 2천700억원으로 15배나 끌어올릴 수 있으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다고.
김 이사장은 “이같은 결과는 당시 수 년 동안 월급이 동결돼 어려운 생활을 이어가면서도 묵묵히 따라주고 더욱 열심히 일해 준 직원들 덕분”이라며 직원들에게 공을 돌렸다.
하지만, 직원들의 헌신에도 불구하고 제1금융권과의 싸움은 힘겨웠다. 제2금융권을 사금융권으로 오인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만연한 상황에서 김 이사장은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해야겠다는 일념으로 10여년 동안 무보수로 발로 뛰며 주민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는 등 적극적인 영업에 돌입했다.
그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주민들이 금고를 찾기 시작했고, 그 노력의 결과는 서서히 자산 증액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주민들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그는 새마을금고의 정신에 따라 지역환원 사업도 잊지 않았다.
사랑의 좀도리 쌀 기증 운동과 여성산악회를 만들어 모인 쌀과 돈으로 지역의 어려운 이웃들에게 쌀, 라면, 연탄 등을 지원했다.
또 장학재단을 만들어 다문화 가정 및 초·중·고 및 대학생 등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각종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서민금융으로 다가갔다.
그의 탁월한 경영능력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내부 직원 복지에도 포커스를 맞춰 제1금융권 수준의 복지 혜택을 누리게 해 직원들의 업무 마인드를 업그레이드시키는 등 내실 경영의 성공도 거머쥐었다.
김 이사장은 “앞으로 금고의 봉사정신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기 순이익을 내고, 주민들을 위할 수 있는 새로운 신용사업을 계획하던 중이다”며 탁월한 경영자다운 멘트로 포부를 밝혔다.
구리=김두호기자 kdh25@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