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글로벌 녹색성장도시 인천, 앞으로 과제 많다

그제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이 송도 국제도시에서 출범, 인천이 세계 녹색성장의 수도가 됐다. ‘GCF의 송도시대’가 열렸다. GCF는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기후변화특화기금으로 ‘환경분야의 세계은행’으로 불린다.

금상첨화격으로 GCF 사무국 바로 옆에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등 5개 기관을 보유한 세계은행(WB) 한국사무소가 들어섰다. 이제 인천은 송도 경제자유구역을 비롯 도시브랜드를 전세계에 알리고 경쟁력을 몇 단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았다.

본보 보도에 따르면 인천시는 글로벌 녹색환경수도의 위상을 정립하고 저탄소 기후변화 시범도시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내년 3월부터 1년 동안 ‘글로벌 녹색환경수도 마스터플랜’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내년 인천 아시안게임을 저탄소 친환경 행사로 치를 수 있도록 범시민 친환경생활실천운동(5R운동)과 탄소포인트제(저탄소 녹색통장 갖기), 그린카드, 탄소발자국 우수아파트, 탄소 중립 숲 등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취약계층이 기후변화 피해를 입지 않도록 지역별로 2015년까지 기후변화적응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 현장에 적용하고, 내년 2월부터 24억 8천600만 원을 들여 환경기초시설 유휴부지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기로 했다.

문제는 인천이 글로벌 녹색도시로서의 면모를 완벽히 갖추려면 안정적인 ‘하드웨어’와 전문적인 ‘소프트웨어’가 뒷받침돼야 하는 점이다. 그러나 중앙정부는 GCF 유치 당시 송도 컨벤시아 2단계 확장, 수도권 간 광역철도(GTX) 조기 건설, 의료ㆍ교육ㆍ쇼핑ㆍ관광시설 등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약속했으나 진행이 너무 더디다. 크게 눈에 띄는 게 적다.

관련 전문학계 등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소 등 관계기관을 인천으로 집중시키고 녹색환경ㆍ기후금융 전문 연구기관·인재육성 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당장 거래소 시스템 구축에만 1천 500억 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산돼 어려움이 예상된다.

GCF 유치 국가ㆍ도시로서의 환경부ㆍ기획재정부ㆍ외교통상부와 인천 간 역할ㆍ공조 등이 분명하게 정립돼 있지 않은 것도 문제점이다.

전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GCF가 출범한 것은 인천이 글로벌 녹색도시로 가는 시발점이다. 인천시가 앞으로 기후변화의 헤게모니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려면 자체적인 비전 제시는 물론 법적 테두리 안에서 중앙정부의 정책ㆍ재정적인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

정치권도 여야의 당리당략을 초월하여 인천이 녹색성장도시의 기반시설을 완전히 갖출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야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