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황에 허덕이는 인천지역 수산업계 살리자

인천지역 수산물시장에 미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유증이 너무 심각하다.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인천은 특히 심하다. 수산물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반토막이 나 줄도산 위기에 처했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양식, 자연산 활어 등을 실은 차량들로 북적대던 연안부두 활어수산물도매거리, 인천종합어시장 등이 적막하리만큼 한산하다. 살아 꿈틀거리는 활어로 가득차야 할 좌판에 포장한 새우젓을 놓고 판매하는 게 고작이다.

일식집들도 마찬가지다. 원전 사고 후 손님이 오지 않아 매출이 곤두박질쳐 폐업하거나 업종을 변경하는 지경이 됐다. 발생한 지 2년여가 지났고, 일본 수산물 수입이 전면 차단됐는데도 소비자들의 일본 방사능 공포가 남았기 때문이다. 수산업계 불황은 인천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야말로 비상이 걸렸다.

이미 국립수산과학원 등이 “국내 연근해 수산물은 일본 방사능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달 29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공동으로 국내 연안에 서식하는 멸치ㆍ 갈치 등 어류 17종, 굴ㆍ바지락 등 패류 4종을 대상으로 방사성물질인 세슘과 요오드 오염 여부를 측정했으나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소비자들이 국내 연근해 수산물을 의심하는 것은 방사능에 대한 일부 ‘불신’의 탓도 없지 않다.

인천시가 버스와 지하철, 각 군ㆍ구 지정게시판에 공익광고를 설치하고 중앙 부처와 연계해 수산물 먹는 날을 지정하는 등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좀 더 능동적이어야 한다. 예컨대 인천과 상황이 비슷한 부산의 경우, 최근 어시장ㆍ횟집ㆍ일식집뿐만이 아니라 지방자치단체ㆍ수산과학원ㆍ해양수산부ㆍ향토기업ㆍ시민단체 등까지 ‘우리 바다, 우리 수산물은 안전합니다’라는 캠페인에 나섰다고 보도됐다.

특히 부산시는 매주 한 차례씩 부산 YWCAㆍYMCA, 여성단체들, 지역 시민ㆍ소비 단체들과 지역내 시장 수산물의 방사능 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방사능 조사 결과와 원산지를 매주 발표, 시민과 관광객들이 믿고 수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하기 위해서다. 공동어시장과 소속 중ㆍ도매인들도 방사능 측정기를 사들여 검사를 별도로 하는 등 ‘방사능 안전’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한다. 방사선 수치 측정기를 구입해 손님이 원할 경우 수시로 방사능 검사를 실시해 손님들이 믿고 수산물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천시도 소비자들이 더 이상 과잉 불안에 흔들리지 않도록 국립수산과학원 등 믿을 수 있는 기관들과 함께 지자체ㆍ수산업계가 공동으로 캠페인을 전개해야 한다. 물론 수산물 상인들도 적극 동참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