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안산시의원 ‘거액수뢰’ 파문… 의회 사과ㆍ재발방지 나서야

시민을 주인으로 섬기겠다며 시의회에 입성한 현직 안산시의원이 환경미화원 취업을 미끼로 지인으로부터 수천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자 시의회를 바라보는 시민들은 눈초리가 싸늘하다.

특히, 구속된 A의원의 경우 힘든 직업인 환경미화원에 취직시켜 주겠다는 것을 미끼로 거액의 돈을 시의회 사무실에서 받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더하고 있다.

이번 A의원의 구속은 지난 7일 안산시의회 개원 이래 초유의 시의회 의원 사무실 등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 이라는 사태와 함께 예고됐다.

집행부의 행정력 낭비와 예산 낭비를 견제하고 무엇보다 각종 청탁 및 부정부패를 막는데 앞장서야할 시의원이 자신의 본분을 망각한 채 신성시돼야할 시의회에서 금품을 받았다는 사실이 그져 놀랍기만 하다.

시민의 손과 발 그리고 귀가돼 가렵고 아픈 곳 등을 보살펴야할 시민의 대표가 고달픈 삶을 살아가고 있는 시민의 취업을 미끼로 수천만원을 챙긴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러한 일들이 과연 A의원 혼자서 가능했을까?

당시 미화원을 선발하기 위한 면접관은 어떻게 구성됐는지?, 면접관에게는 어떠한 압력이 없었는지? 등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내야할 숙제가 남아 있으며 안산시 내에서도 검찰 수사와는 별개로 감사를 벌여야 한다.

시의원은 조례 재정 및 개폐, 예산에 대한 심의, 확정, 승인과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권을 갖고 있고 공무원을 의회에 출석시켜 질문하고 자료를 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것들을 집행부에 요구할 수 있다.

사실상 집행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런한 권리를 시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것이다.

이번 검찰 수사를 계기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거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권력을 남용하거나, 집행부를 상대로 이권에 개입했는지, 자신의 사업과 관련 각 부서에 물건을 강매하는 행위 등이 더 없는지 시의원들의 자질문제와 더불어 시의회에 경종을 울리 필요성이 있다.

그동안 안산시의회는 불미스러운 일이 터질 때마다 은근슬쩍 침묵으로 넘어가곤 했으나 이제는 안된다.

안산시의회의 이번 뇌물수수 사건은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으며 얼마전 의회 내 윤리특별위원회의 상시 가동을 발표했던 모습도 설득력을 잃게 됐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 시의회는 먼저 이번 문제에 대해 진심어린 마음으로 대시민 사과를 해야 하며 재발방지에 따른 뼈를 깍는 노력도 병행돼야 돌아선 시민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돌릴 수 있을 것이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