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까지 연장해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검단신도시 연장을 보류하자고 제안한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LH 측이 뜻밖의 이견을 나타내 검단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용역이 중단돼 언제 마무리될지 기약하기 어려워졌다. 원래 지난해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었던 게 점점 더 늦어지게 됐다.

검단신도시 광역교통계획과 도시철도기본계획은 인천도시철도 1호선을 검단신도시 개발계획에 맞춰 현재 종착역인 계양역부터 검단신도시까지 연장하는 것이다. 당초 검단신도시 2지구까지 연장할 계획이었으나 2지구 개발사업이 취소되면서 1지구까지만 연장하는 것으로 구간은 총 길이 8.2㎞, 역사 3개가 신설되는 공사다.

그런데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의 지분을 50% 갖고 있는 LH가 최근 인천시에 사업성을 이유로 지하철 연장을 보류하자는 제안을 했다. LH 측은 검단신도시 주변여건을 고려했을 때 조성원가를 최대한 절감해 분양가를 낮춰야만 사업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H 측이 내세운 대안은 1호선 연장 대신 간선급행버스시스템(BRT)이다.

같은 구간을 BRT로 대체하면 사업비가 3천700억 원으로 절반 이상 떨어진다고 주장한다. LH 측은 “지하철을 연장하게 되면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일단 BRT를 도입해 검단신도시를 개발한 뒤 차후 필요할 경우 지하철을 연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LH 측 제안대로 한다면 발생하는 문제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도시철도기본계획에 반영돼 이미 주민에게 공표한 1호선 연장을 쉽게 변경할 경우 행정신뢰도가 떨어진다. 또 BRT는 어디까지나 버스시스템이다. 철도와 환승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등 편의성이나 상품성에서 차이가 크다. 지하철을 포기하면 초기 투자비용을 낮출 수는 있겠지만, 그러나 분양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크다. 지하철 역세권 개발이 불가능해 상업시설 축소 등 간접손실도 고려해야 한다. BRT 자체 사업비 외에도 BRT 전용노선에 필요한 도로추가확보 비용을 따져보지 않을 수 없다.

검단신도시에 필요한 교통수단으로서 지하철과 BRT를 놓고 효율성을 검토해야 하는데 단순히 초기 투자비용 최소화만을 고려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대체 교통수단 역시 환승 체계나 역세권 개발과 같은 연관 사안을 충분히 검토하고 타당상을 따져야 한다. ‘차후 필요할 경우 지하철을 연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는 LH 측의 설명은 같은 일을 두 번 하려는 것과 같다. 인천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시의 계획대로 검단신도시까지 연장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