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서울시, 월드디자인시티 ‘전운’

서울시 “상수원 인접 식수원 오염 개발제한구역 존치해야”
구리시 “GB 해제 국토부장관 결정 사항… 서울시 관여말라”

구리시와 서울시가 한강변에 조성예정인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사업과 관련해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시가 오는 2020년 완공예정으로 개발제한구역인 토평동 일대 조성키로 한 구리시의 월드디자인시티 계획에 대해 서울시민의 식수원 오염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1일 시와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16년 말까지 구리도시공사 공사채 2조1천억원을 들여 개발제한구역인 토평동 일대 등 한강변 172만여㎡를 대상으로 도로(1만5천654㎡)와 상수도(정수장 이전), 하수도(3천800m), 공원녹지(49만7천223㎡), 주차장(1만422㎡) 등을 조성키로 했다.

시는 이어 오는 2020년 말까지 외자 7조9천억원을 투입해 월드디자인센터와 호텔, 외국인 전용 주거시설 및 국제학교, 각종 부대시설 등을 설치키로 했다.시는 현재 토평동 일대 한강변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친수구역 지정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서울시가 최근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 검토 의견을 내면서 사업 대상지의 직ㆍ하류에 한강 잠실상수원이 위치해 식수원 오염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서울시는 암사취수장(1.5km 이격), 구의취수장(3.9km 이격)등이 존치하는 만큼 기존 개발제한구역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시는 또 친수법에 따른 도시재발은 최대 29개 절차가 의제 처리돼 분야별 세부적인 타당성과 환경영향 등의 검토 절차가 단축ㆍ생략되기 때문에 도시개발법에 의해 추진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친수구역 지정을 반대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민 식수원 보호와 관련된 문제인 만큼 어떠한 절차에 따른 사업 추진 여부와 상관없이 단계별 세부적인 검토를 위해 서울시가 협의대상 주체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구리시 관계자는 “발생 하수는 모두 인체에 해가 없는 수영용 수준 이하로 처리하게 돼 있다” 면서 “개발제한구역 해제는 광역도시계획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결정할 문제지 서울시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는 올해 안에 토평동 일대 한강변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친수구역 지정 절차를 마무리 짓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