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대우’ 특혜의혹 철저히 파헤쳐라

인천시 공직사회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송영길 시장의 최측근인 김효석 인천시 서울사무소장을 구속한 서울북부지검의 수사가 인천시 공직사회를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소장은 억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로 이미 구속된 대우건설 건축사업본부장 A씨(53)로부터 인천시장 비서실장 때 공사 입찰과 관련, 5억원을 받은 혐의다.

김 소장은 송 시장과 고교 동기동창이다. 송 시장이 국회의원 땐 보좌관을, 송의원이 시장 당선 후엔 비서실장을 맡다가 서울사무소장으로 옮긴 최측근이다. 송시장의 다른 최측근인 인천시체육회 사무처장도 최근 다른 사건의 뇌물수수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송시장 임기 말을 앞두고 측근들의 비리 혐의가 얼마나 드러날지 주목된다. 김 소장은 시장 비서실장 재직 중 각종 이권 및 인사개입에 따른 구설수가 끊이지 않아 1년여 만에 서울사무소장으로 옮겼다. 시장을 등에 업은 핵심 측근의 권한 남용의 심각성을 짐작케 한다.

대우건설 A 본부장은 인천에서 5년 이상 장기 근무하면서 각종 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천자유구역청 및 시 본청 고위 공무원들과 친분을 쌓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A 본부장이 비자금을 잘 만들고, 이 비자금으로 전방위 로비를 벌여 공사를 따내는 ‘일 잘하는 인물’로 꼽혀왔다. 최근 송도의 알짜배기 사업을 싹쓸이한 것을 두고 뒷말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대우건설 수주 사업에 관여한 고위 공무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특히 간과할 수 없는 것은 대우건설이 수주한 몇몇 사업은 추진 과정에서 당초 승인 내용이 상당 부분 변경돼 특혜의혹이 파다했지만 그냥 지나쳐 버렸다는 점이다. 송도글로벌캠퍼스 건설과 관련, 대우건설측은 부동산 경기 침체를 이유로 사업시행자인 송도글로벌대학캠퍼스(주)에 적자 예상분 580억원 감면을 요구, 경제청이 이를 수용해 251억원을 줄여줬다.

또 인천아트센터 사업의 지원1단지도 오피스텔 비율이 기존 30% 이하에서 50% 이하로 늘었고, 용적률은 300%에서 400%로, 저층 위주의 콘셉트는 고층으로 바뀌었다. 지원2단지는 당초 숙박·업무·판매시설이던 용도가 아파트·오피스텔 분양이 포함됐고, 용적률도 600%에서 950%로 늘었다. 당국의 승인 없인 불가능한 ‘주요 변경’들이다.

당국의 이런 조치들은 대우건설의 수익성을 높여주기 위한 특혜라는 지적이다. 이런 의혹들은 당시 업계에 공공연하게 나돌았지만 웬일인지 지역 수사기관들은 작동하지 않았다. 당연히 이를 이상하게 보는 시각이 많았다. 따라서 차제에 이런 의혹들은 비록 역외 검찰이긴 하나 철저한 수사로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 앞으로의 수사 추이를 주시코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