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맑은 공기 시책이 어정뜨다. 유엔 녹색기후기금(GCF)사무국 유치를 계기로 ‘세계 녹색 심장 인천’을 외치면서도 정작 미래 녹색 에너지 산업인 전기차 인프라 구축 사업은 외면하고 있다. 환경시책의 겉과 속이 다르다. GCF 사무국을 유치한 도시의 환경의식이 의심스럽다. 이러고도 인천시가 앞으로 어떻게 세계 환경수도로서의 위상을 굳히게 될지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녹색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차 인프라 구축 사업을 펴고 있다. 일종의 저(低)탄소를 지향하는 대안 사업이다. 전국 지자체로부터 전기차 선도 도시 신청을 받아 신재생 에너지 사용 선도 도시로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서울·대전·광주·제주·경남·창원 등 10개 도시를 전기차 선도 도시로 선정했다.
전기차 선도 도시 시민은 전기차를 살 때 정부로부터 1천500만원, 해당 지자체로부터는 최대 800만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선도 도시로 선정된 지자체들은 이미 전담부서를 설치, 전기차 확대 공급 계획을 세우고 충전시설 확보, 통행료 및 주차료 감면 등을 지원하고 있다. 환경부 정책에 발맞춰 대기질(大氣質) 개선사업에 경쟁적으로 앞서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천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기차 선도 도시 신청을 하지 않았다. 이유는 예산 부족이다. 구차한 핑계다. 돈 타령 속에 누구보다 앞장서 시행해야할 인천시 맑은 공기 시책이 되레 뒤처지고 있는 것이다. ‘녹색 심장 도시 인천’이란 구호가 무색하다. 인천시가 현재 보유한 전기차는 2011년부터 구입한 27대(올해 9대 추가 구입 예정)의 관용차량이 전부다. 전담부서가 없으니 민간차량 공급 계획이 있을 리 없다. 세계 환경도시의 체면을 구기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대기오염의 주범은 자동차 배기가스다. 특히 항만도시이자 공업지역인 인천은 경제활동 증가로 어느 곳보다 공기오염 상태가 심각한 도시다. 자동차 배기가스의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이 햇빛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기는 오존이 인체에 얼마나 유해한가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대기오염이 천식·폐질환 및 각종 암을 유발한다는 의학보고는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따라서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해선 자동차 배출 가스나 매연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큰 과제다. 더 나아가 전기차 등 무공해 자동차를 적극 장려해야할 때다. 그런데도 모범적으로 앞서 가야할 인천시의 맑은 공기 대책은 정부 정책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니 한심한 일이다. 늦었지만 인천시는 환경수도 이름에 걸맞게 청정도시 만들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