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당하다. 인천시가 대중교통 취약지역인 남동구 서창2지구의 시발 버스 1개 노선을 개설 한지 100여일 만에 폐지한 것은 주민편익을 무시한 행정 편의적 독단이다. 조령모개 식 행정의 전형이다. 서창2지구는 남동구의 아파트 신개발 지역으로 지난해 3월부터 3천 가구 1만여명이 입주했고, 오는 9월엔 1만5천 가구 5만여명이 입주하게 된다. 당국이 종합행정 차원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없는 소도시 규모다.
그런데도 인천시는 서창2지구를 출발해 시내외 버스와 연계 환승이 쉬운 시청 정류장 경유의 38-1번 버스노선을 개설 3개월여 만인 지난달 22일 돌연 폐지했다. 이 노선의 버스 대당 운송 수익이 1일 20만원대로 평균 운송 수익 원가 53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시는 대체 노선으로 서창2지구에서 신세계백화점~인하대학교~인하대병원을 잇는 5번 버스노선을 신설하긴 했다.
하지만 5번 버스노선은 시내외 버스 정류장과의 연계 등 광역교통체계 접근이 쉽지 않아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서창2지구에서 선학역~인천터미널~인천시청까지 환승하지 않고 갈 수 있었던 38-1번 버스가 폐지되면서 이를 이용하던 주민들은 선학역, 예술회관역, 롯데백화점 인천점, 구월동 CGV, 인천시청 등으로 이동하려면 버스를 갈아타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인천시청 정류장은 시외버스 접근성이 좋은 교통요충지다.
이처럼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하던 노선을 폐지한 것은 주민보다 오로지 버스업체의 편익만을 우선시한 처사다. 주민 민생은 아예 안중에도 없는 외눈박이 행태다. 그렇다고 5번 버스 신설 이유가 뚜렷한 것도 아니다. 5번 버스의 노선이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남동경찰서, 신세계백화점, 옹진군청, 토지금고 등 기존 38번 버스노선과 비슷하다. 신설 이유와 명분이 모호하다. 38-1번 버스 폐지 보완과 무관한 노선버스 신설 배경이 석연치 않다.
시 당국은 38-1번 버스 폐지 이유로 수익성 저하를 들고 있지만 당치 않은 소리다. 이런 경우를 예상하고 인천시가 도입한 것이 버스준공영제가 아니던가. 인천시가 2009년 도입한 버스준공영제는 민간 운수업체가 서비스를 공급하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지차체가 적자 업체에 재정지원 등을 통해 버스 운영체계의 공익성을 강화한 제도다. 버스업체의 적자 노선 운행 기피를 막기 위한 장치다.
인천시가 버스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시민 혈세로 보조금을 적자 업체에 전액 보조해주고 있는 것은 대중교통의 공공성 때문이다. 인천시는 당장 폐지된 버스노선을 복원해야 한다. 주민 편익 위주로 재조정 하는 것이 위민행정이다. 교통편의 제공도 ‘주민복지향상’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