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의날 기념 한일 국제심포지협동조합의날 기념 한일 국제심포지엄이 인천 소비자단체협의회와 인천지역생활협동조합협의회 공동 주관으로 지난 4일 송도컨벤시아에서 400여 명의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열렸다.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발효 이후 협동조합 설립이 붐을 이룬 가운데 서울시의 경우 8천개를 목표로 한달 평균 200개 이상 신규협동조합이 등록하였으며 시민단체, 공공기관의 협동조합 강좌가 봇물을 이루는 중에 또 하나의 협동조합 행사가 인천에서 마련된 셈이다
‘인천! 협동조합을 이야기하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협동조합과 지역사회개발’, ‘생협운동과 소비자운동에서의 역할’, ‘한국의 고령화 사회와 협동조합의 역할’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되어 관계자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다.
필자가 회장으로 있는 인천소비자단체협의회는 년초부터 이 주제에 관심을 갖고 협동조합과 소비자운동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내에서 앞으로 어떻게 연계되고 네트워크화 할수 있을것 인가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여 왔다. 특히 소비자 분야 책임부서인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소비자가 주역이 되는 시장구현’ 비전을 위해 소비생활협동조합의 건전한 발전도모를 정책과제중 하나로 채택하고 있는 것과도 관련된다.
이날 기조강연을 한 김창진 성공회대교수는 협동조합의 국제적 정의는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사회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이라고 했다.
그런데 한국의 기본법에서는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이라고 정의하여 특히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부분이 강조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협동조합으로 지역을 개발하고 강력한 연대네트워크로 일자리 유지와 공유를 이룬 스페인 몬드라곤 사례 등을 소개했다.
또한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김형미이사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생협)운동은 소비를 통해서 생산에 책임을 지는, 소비생활의 주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1986년 우루과이 라운드협상이래 농업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생협을 선택하였고 그 이후 식품안전의 지킴이, 농업과 환경을 지키는 책임 있는 시민의 역할을 하고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생협(한살림, 두레 생활협동조합등)은 소비자의 책임과 윤리적소비자운동에 바탕을 둔 유럽의 소비자운동과 공통되는 것으로써 소비자들이 지갑을 통해서 소비의 방향을 틀어내는 사회적 계획가의 기능을 갖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분명 소비자운동과 협동조합은 상통하는 바가 있으며 소비자운동에서 주장하는 지속 가능한 소비, 착한 소비 차원에서 볼 때 함께 협력하고 네트워크화 할 명분이 크다. 어찌보면 지금까지 두 영역이 서로를 자세히 몰랐다고 할 수도 있으며 그동안 조합원 위주의 경영, 협력의 네트워크 미흡 등에 기인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앞으로 생활밀착형 공동구매대행에서 발전하여 지역일자리 창출, 교육, 복지,의료 등 다각적 측면에서 협동조합의 장점과 우수성을 살릴 때 소비자운동이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다고 본다.
최근 소비생활에서 안전이나 안심 못지않게 편리성, 개인형 맞춤소비를 중요시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대거 출현하면서 소비트렌드는 생산자 위주가 아닌 소비자의 손에 의해 좌우되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김성숙 인천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