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 녹색환경만이 인류의 미래 보장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변화로 집중폭우 또는 폭설이 해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지난 2011년 7월26일 중부지역에 내린 집중폭우로 서울 광화문 일대가 물에 잠겨 교통이 두절되고, 우면산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해 인명과 재산피해가 속출했다.

당시 서울중심 광화문 일대 침수는 430㎜라는 집중폭우가 문제였으나 그 보다는 90%가 넘는 서울시내 불투수율이 더 큰 요인이었다.

이처럼 불투수율이 높은 것은 비단 서울시내뿐만이 아니다. 수원 등 전국 모든 도시가 크게 다르지 않다. 도심 어디나 도로는 아스팔트로, 건물 주변 공터는 콘크리트로 봉해져 있다. 그래서 빗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자연지반이 부족해 비가 오면 땅이 빗물을 흡수ㆍ저장하지 못하고 일시에 하류로 흘러 보낸다. 때문에 비가 조금만 와도 도심이 물에 잠긴다.

땅도 숨을 쉬고 물을 머금어야 한다. 땅속 깊이 햇빛도 들고 공기도 통해야 한다. 땅 속엔 지렁이도 미생물도 살아야한다. 풀이 돋고 나무가 자라야 한다. 그런데 아스팔트로 시멘트로 봉해 버렸으니 그 속에 햇볕이 들지 못하고 공기도 수분도 없다. 생명체가 살 수 없는 죽음의 땅이 됐다.

문제는 앞으로다.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집중폭우나 폭설이 그 어느 때보다 잦아질 거라는 데 있다.

잦은 폭우에 의한 도심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하수관 용량을 키워야 한다. 또 건물 주변 공터와 교통량이 적은 이면도로 콘크리트포장을 제거하고, 도심 불투수율을 낮춰 집중 폭우로 인한 물난리를 막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나무와 풀을 심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정화시켜 쾌적한 대기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

한정규 전 환경부 공무원문학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