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통보 "가동 9년 만, 파행운영 불가피…"
북한이 8일 개성공단 내 북한 근로자에게 "모두 철수하라"고 통보했다.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통보에 따라 5만3천여명의 북한 근로자가 근무 중인 개성공단은 파행 운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대책마련에 나섰다.
김양건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비서는 이날 개성공단을 직접 방문한 뒤 담화를 통해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남측을 압박했다.
그는 "개성공업지구에서 일하던 우리 종업원들을 전부 철수한다"며 "공업지구사업을 잠정 중단하며 그 존폐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후 사태가 어떻게 번져지게 되는가 하는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앞서 이날 김 비서가 개성공단 현지를 방문해 "공단 내 사태에 만반의 준비를 갖출 수 있는 구체적 과업을 해당 부문에 주었다"고 밝혀 이후 있을 북측 근로자 철수를 암시했다.
김 비서는 특히 개성공단 출경금지 조치와 관련해 남측의 책임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날 "남조선 보수당국이 개성공업지구 문제를 가지고 우리의 존엄을 모독하여 사태를 험악하게 몰아가 공업지구의 운명이 경각에 이르게 됐다"며 "(전날 김관진 국방부 장관의 개성공단 인질구출 작전 발언은) 개성공업지구를 전쟁발원지로 만들려는 고의적인 도발"이라고 비난했다.
북측 근로자의 이번 철수로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은 커지게 됐다. 현재까지 개성공단에서는 14개 업체가 원자재 수급이 안 돼 조업을 중단했으며 식자재 공급중단도 엿새 째 계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개성공단 현지에서 일하는 의료진이 6일 모두 철수한 가운데 다음날 개성 현지에서 환자가 발생, 남측으로 급히 귀환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날 북한 개성공단 중단 선언이 이뤄지자마자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을 중심으로 긴급 회의를 소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관련 상황에 대한 보고가 즉시 이뤄졌다. 이와 관련해 우리 군은 한미 감시자산을 총동원해 북한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상태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통보, 공단현황(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