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지검, ‘단건축’ 비리수사 속도내라

인천지역 정·관계(政·官界)가 긴장하고 있다. 검찰이 한 설계·감리사가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을 포착, 비자금의 흐름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지검은 지난달 (주)단건축 사무실을 압수 수색, 회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영진이 조성한 비자금이 1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토착비리의 냄새가 짙은 사건이다. 검찰은 비자금이 지역 정치인과 공무원, 지방 토착 세력 간 검은 연결고리로 작용, 비리 토착화가 깊숙이 자리 잡게 되지 않았는지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해야 한다.

‘단건축’은 5년 전만 해도 보잘 것 없는 소규모 업체였다. 그러나 2008년 주요 관급 및 민간공사의 설계와 감리 사업에 본격 뛰어들어 수주를 독식하다시피 하면서 인천지역 3대 설계사무소로 성장했다. 2009년부턴 건설사와 손잡고 턴키 설계에 진출, 사실상 업계 1위에 올랐다.

검찰은 ‘단건축’이 건설사와 컨소시엄 형태로 설계·감리 부분에 참여, 설계비 등을 부풀리거나 용역을 하청 준 것처럼 거짓으로 꾸며 비자금을 축적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특히 설계사가 건설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때, 설계사가 관급공사의 인·허가를 도맡는 관행으로 보아 ‘단건축’이 비자금을 사업 수주와 관련된 각종 로비자금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자금 100억대 조성, 로비살포 혐의

市 퇴직간부들 영입, 로비스트로 활용

대형사업 독식, 5년 새 업계 1위 부상

수년 전만 해도 큰 실적이 없던 ‘단건축’이 급속 성장한 데 대해 업계에선 의아해 하면서도 여러 추측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실질적 경영자인 A씨는 인천시 공무원 출신으로 지역사회에서 토박이 행세를 하는 마당발이다. 정·관계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교류가 넓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A씨가 “어떤 사업을 수주 하겠다”고 마음먹으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결국 일을 따내는 ‘억척 인물’로 이름났다. 지역 정·관계 고위층과의 두터운 친분관계를 자랑하고, 비자금의 위력을 과시하는 졸부의 천박함을 함축하고 있다. 여기에 회사가 영입, 포진시킨 인천시 퇴직 고위 간부들의 로비스트 역할도 컸을 것이라는 소문 역시 파다하다. 철저하고 엄혹한 수사가 필요하다.

항간엔 검찰수사가 소리만 요란했지 별 효과 없이 흐지부지 끝날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 않다. 검찰이 지난달 회계자료를 압수하고, 한 달간 계좌추적을 해왔으며, 관계직원들을 조사하고도 아직 수사결과 발표를 미루고 있어서다.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도 검찰 수사는 단호하고 신속해야 한다. 토착비리 척결차원에서 처벌 또한 엄중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