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한해 평균 사회공헌 활동으로 지원한 금액은 1천억원이다. 그 밑바탕에는 농협이 추진하고 있는 ‘농촌사랑 1사(社)1촌(村) 운동’이 있다.
농협의 1사1촌 운동은 농촌과 도시가 상호교류를 통해 농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농도상생(農都相生)의 방안을 찾고 개방의 격랑 속에 휘청거리는 한국 농업을 살리기 위해 농민·도시소비자·기업·정부 등이 모두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는 절박한 문제의식 속에서 출발했다.
1개 기업 또는 단체·정부부처와 1개 농촌마을이 자매결연을 맺고 지속적인 ‘농도교류’ 활동을 전개하게 될 1사1촌 운동은 그렇다고 농업계의 위기 극복을 위해 비(非)농업계가 일방적으로 후원하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도시와 농촌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있다.
도시민은 양질의 농산물과 문화·관광·휴양공간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받고 농민들은 안정적인 수입원을 확보함으로써 대외개방의 거센 파고를 이겨나갈 발판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농촌사랑을 실천하는 사업으로 ‘기업은 농촌에 사랑과 지원’을 ‘농촌은 기업에 건강한 삶’을 주고 받는 행복한 ‘윈(win)-윈(win)운동이다.
1사1촌 운동이 시작된 지난 2004년 이후 전국 농가들의 평균 농업외 소득이 꾸준히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판매에 따른 농업소득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1사1촌 운동 등을 통한 활발한 도농교류로 농가들의 농외소득은 증가했다.
도시민들은 도농교류를 통해 녹색환경을 향유하고 농산물을 싸게 구입 할 수 있으며 먹을거리 불안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농촌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정부에서도 도농교류활동을 확대하기 위해 만든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 촉진에 관한 법률안(도농교류촉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1사1촌 운동에 참여하는 기업이나 기관 및 단체들에 혜택이 돌아갈 예정이다.
기업이나 기관 및 단체는 1사1촌 마을에 봉사활동을 하는 경우 시장이나 군수 등이 ‘도농교류 확인서’를 발급하면 손비인정 하는 데 근거자료로 쓸 수 있고, 농촌을 찾는 학생들은 봉사실적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1사1촌 운동은 짧은 기간에 범국민운동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지난해까지 8천700여건의 결연 실적을 올리고, 1사1촌 운동을 통한 농산물 직거래 실적도 지난해 611억원에 이르는 등 교류횟수도 4만5천700여차례에 이르고 있다. 농촌지역사회에 활력을 높여주는 새로운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중국과 일본에서는 농촌지역사회 활성화의 모범사례로 벤치마킹까지 하고 있다.
1사1촌 운동은 인정이 넘치고 활력있는 농촌을 소중히 보전하고 가꿈으로써 농업인과 도시민 모두의 삶의 질을 함께 높이는 도농상생(都農相生)운동이며, 계층간·지역간 격차를 좁히는 국민통합운동이다. 1사1촌 운동이 공허한 일회성 캠페인에 그치지 않고 도·농간 상호보완적이고 지속 가능한 교류 사업으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기업이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핵심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단체의 지속적인 참여와 관심이 1사1촌 운동의 성공을 이끌 수 있다.
김 병 욱 농협 인천본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