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고혈압이 있던 50대 남성이 회사 앞의 눈을 쓸다가 갑자기 쓰러져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응급실에 왔다.
검사결과 뇌출혈로 확인돼 치료를 받던 중 4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발생해 인공호흡기 치료를 하게 됐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예후가 다르지만 사망률이 22~41%에 이르는 중증질환이다. 체내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그대로 두면 환자는 저산소증으로 장기손상이 불가피하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호흡기센터(센터장 현인규)팀은 이 환자에게 ‘체외막산소화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ㆍECMO)’를 시행했다.
ECMO 치료 2시간 후부터 환자의 산소수치와 혈압은 안정됐고, 급성호흡곤란증후군도 호전돼 6일째는 ECMO를 제거했다. 2주째부터는 인공호흡기도 제거하고 가족과 대화를 나눌 정도로 건강해졌다.
‘인공 폐’ 또는 ‘인공 심장’이라고 불리는 ECMO가 망가진 심폐기능 대신한 사례다.
ECMO는 급성심부전이나 급성호흡부전으로 심폐기능이 어려워져 생명을 위협받는 환자들에게 말 그대로 심장과 폐 기능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
동맥-정맥 혹은 정맥-정맥에 도관을 삽입해 에크모 장치에 연결한다. 혈액을 외부로 빼내 순환시키면서 에크모 장치를 통해 이산화탄소는 배출시키고, 산소는 공급해 전체 장기 및 조직에 혈액산소가 원활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혈액을 밀어내며 박동 역할을 하는 심장근육을 대신해 펌프기능도 해 준다. 이를 통해 낮아진 산소포화도가 높아지고, 기능이 저하된 심장근육이 제 역할을 할 때까지 순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급성호흡부전이나 급성심부전, 심장정지 등으로 응급실에 실려 온 환자들은 심폐소생술과 동시에 에크모 장치를 활용해 떨어진 심폐기능을 대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에크모를 활용하면서 기존 치료 방법으로는 99% 사망할 수밖에 없는 심장마비와 급성호흡기능부전 환자 중 20~40%는 살릴 수 있게 됐다.
이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ECMO 전담팀을 꾸릴 예정이다. 이 팀에는 심장내과, 흉부외과, 호흡기내과, 응급의학과, 마취과 등 관련과 전문 의료진이 응급상황 시 곧바로 참여하게 된다. 혈관촬영실 기사, 간호사, 체외순환사, 전공의 등도 30분 이내에 병원으로 바로 모여 시술현장에 동참한다.
ECMO 전담팀을 운영해 긴박한 상황에 빠진 환자 10명 중 3명을 생존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_한림대학동탄성심병원 호흡기센터 김철홍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