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안주는 ‘자격증’… 취준생들 운다

민간등록자격증 3년새 3배↑ 공인안돼 태반이 실효성 없어 관리 ‘사각지대’ 피해자 속출

재취업과 취업 등을 목적으로 자격증 따기 열풍이 불고 있지만, 실효성 없는 자격증이 상당수여서 주의가 요구된다.

23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민간등록자격증은 지난 2009년 1천18개에서 올해 12월 현재 3천329개로 3배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3천329개의 민간자격증 중 국가에서 공인받은 공인민간자격증은 87개로 2.61%에 지나지 않는다.

국가공인민간자격증은 회계관리, 한자능력검증시험, 한국어능력시험, 텝스 등 87개로 소관부처에서 관리, 감독하고 있지만 민간자격증의 경우 관리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이로 인한 피해 역시 속출하고 있다.

안산에 거주하는 주부 김모씨(47)는 지난 9월 노인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사회복지시설과 국립 요양원, 국가지정병원, 실버산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는 광고를 보고 자격증 시험을 치렀다.

교재비 50만원을 들여 4개월간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자격증을 딴 후 사회복지기관과 실버타운에 제출했지만, 공인된 자격증이 아니라 실효성이 없다는 얘기를 듣고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40대 유망직종이라고 하고 취업에 유리하다는 얘기에 믿고 땄는데 결국 쓸모없는 것이 돼버렸다”고 푸념했다.

2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자격시험 관련 피해 상담건수는 올 한해만 544건에 달한다. 이는 서류등록만 하면 민간자격증 시험을 주관할 수 있기 때문으로 정부는 지난해 11월 ‘자격기본법’을 개정, 민간 자격증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했지만 현재 국무회의만 통과한 상태로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심지어 국민의 건강, 안정 등과 관련한 민간 자격증을 금지토록 하고 있으나 노인상담사, 노인복지사 등의 금지 자격증 역시 여전히 온라인 등에서 ‘유망 직종’으로 소개하며 취업에 목마른 이들에게 자격증을 남발하고 있다.

김상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격연구실 부연구위원은 “민간자격증은 자율적으로 활용되므로 실제 취업 현장에서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민간자격증서비스 홈페이지를 방문해 확인을 한 후 취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