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 창시자 문선명 총재 별세

어제 폐렴 합병증으로 향년 92세…4남 문국진 통일그룹·7남 문형진 통일교 후계 유력

통일교 창시자인 문선명 총재가 3일 오전 1시54분 통일교 성지인 가평 청심국제병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92세다.

문 총재는 지난달 14일 감기와 폐렴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다 현대의학으로 병세 호전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에 따라 31일 가평 청심국제병원으로 옮겨졌다.

고인은 1920년 1월6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으며, 일본 와세다대 전기학과를 졸업하고 6·25 전쟁 휴전 다음해인 1954년 통일교를 창시했다.

1957년 일본을 시작으로 해외 선교의 닻을 올린 통일교는 1972년 미국에 진출, 해외 선교를 본격화하는 등 불과 50여년 만에 전세계 194개국 300여만명의 신도를 거느린 종교 단체로 성장했다.

하지만 고인 자신을 ‘메시아’로 보는 통일교의 교리 때문에 늘 이단 시비에 휘말렸으며, 이승만 정권 시절을 비롯 모두 6차례나 수감 생활을 하기도 했다.

문 총재는 이단 시비를 비롯한 각종 논란에도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고도의 사업 수완을 발휘해 전세계에서 다양한 사업을 벌여왔다.

선화예술중고교, 청심국제중고교를 비롯한 교육기관과 세계일보, 미국 통신사 UPI 등 언론기관, 일화, 용평리조트 등도 문 총재가 운영하는 곳이다.

‘세계평화’라는 화두에 일생을 바친 고인은 1991년 12월 북한 김일성 주석을 만나 남북정상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개발을 비롯한 남북경제교류에 합의했고, 2010년에는 유엔을 대체할 평화 기구로 ‘부모 유엔’을 창설했다.

지난 1991년 11월 10일자 영국 선데이타임스는 ‘20세기를 만든 1천명의 인물’로 이승만 대통령, 북한 김일성 주석과 함께 문 총재를 선정하기도 했다.

문 총재가 수십 년간 ‘메시아’를 자칭하며, 1인 카리스마로 교단을 이끌어 온 만큼 그의 부재로 인한 ‘포스트 통일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통일교는 최근 소위 ‘왕자의 난’으로 불린 형제간 다툼으로 한바탕 술렁였다.

장남과 차남이 먼저 세상을 떠난 뒤 사실상 ‘장남’ 자리를 맡고 있는 3남 문현진씨(43)는 애초 유력한 후계자로 이름이 오르내렸지만, 후계 구도에서 밀려난 것으로 알려졌다.

4남 문국진씨(42)는 통일교 재단 이사장 겸 통일그룹 회장을 맡아 한국·일본 조직을 장악했다. 형제 중 유일하게 목회자의 길을 걷는 7남 문형진 목사(33)는 2008년 4월 통일교 세계회장에 임명됐다.

이런 가운데 형제간 헤게모니와 재산 문제 등에서 불거진 갈등은 결국 법정 소송으로도 이어졌다.

한편 문 총재의 장례는 13일장으로 치러진다.

고인의 7남인 문형진 통일교 세계회장이 성화(聖和)위원장을 맡고 각계 성화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신도와 일반 참배객은 특별정성기간 3일이 끝난 뒤인 오는 6일부터 13일까지 8일간 가평 청심평화월드센터 내에 마련된 빈소에서 참배가 가능하다.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