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 내집 불나도 강건너 불구경?

‘강 건너 불구경’이란 말이 있다. 불이 난 곳이 강 저편이니 나에게 급할 일이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인지 소방차가 사이렌을 울리며 급히 달려가는 것을 봐도 비켜주는 차는 많지 않다. 소방통로는 곧 ‘생명 통로’로, 화재 등 각종 사고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빨리 현장에 도착하느냐에 따라 피해규모가 달라진다. 초기에 불길을 잡지 못하면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는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119 소방차는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화재 등 재난현장에 가장 먼저 출동하는 긴급구난 차량이다. 한마디로 1분1초를 다투는 차량이다. 누구나 바쁘겠지만 정말 협조가 꼭 필요한 순간에는 반드시 양보해야 하는데 하는 짙은 아쉬움이 남았다.

소방차들이 정지 신호임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진행하는 것은 5분이라는 시간이 갖는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화재는 주로 불꽃이 발화돼 5분이 지나면 폭발적으로 확산해 연소 확대는 물론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양보는 귀찮고 내 일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기 이전에 ‘내 집이 불타고 내 가족이 울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사고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긴급차량에 길을 양보하고, 골목 한 줄로 주차하기 등 소방당국에서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소방차 길 터주기’ 운동은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다.

권도원 의왕소방서 현장대응담당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