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만동 프로의 호쾌한 골프] ⑮백스윙(Take-way)을 어떻게 해야하나?

'골프스윙은 어떻게 어디서부터 출발할까?'

비거너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질문하는 내용이다. 어떻게 시작해야 하고 테이크어웨이는 또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문득 의문이 생길 때가 있다.

처음 골프를 배울 때는 백스윙에 대한 의식도 없이 지도해주시는 분이 지도하는대로 따라할 수 밖에 없어 따라하는 획일적인 방법으로 배우곤 한다. 이번에는 올바른 테이크어웨이를 배워보자.

"시작이 좋아야 끝도 좋다" = 테이크어웨이는 골프스윙의 시작 단계다. 양팔을 오른쪽으로 빼서 백스윙을 가져가는, 골프에서는 첫 번째 과정이라는 이야기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초보시절 잘못 배운 골프스윙이 몸에 익숙해진다면 이것을 다시 고치는 데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만큼 처음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아마추어골퍼들은 대부분 팔을 이용해서 직선으로 오른발 또는 50cm 구간까지는 몸통의 회전 없이 진행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스윙 궤도를 만들 수 있고, 클럽페이스가 오픈되면서 심한 슬라이스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골프스윙은 '도미노시스템'이다. 테이크어웨이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나머지 스윙은 망가질 수밖에 없다.

손목은 고정, 몸통을 회전해야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사람의 상체가 크레인의 몸통이면 팔과 클럽은 케이블 와이어다. 크레인의 축을 척추로 본다면 척추의 높낮이와 앞뒤로 움직임이 없는 자세에서 몸통의 로테이션 회전으로 시작을 하는 게 맞다.

여기서 회전의 순서는 클럽헤드가 후방으로 빠지면서 손이 이끌려가고 어깨의 회전을 이용하여 몸통과 허리 그리고 무릅이 꼬이는 현상으로 회전시킨다는 의미다. 회전의 비율은 어깨부분이 60%라면 골반부문은 30%이고, 무릅은 10%의 꼬임으로 진행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 로체이션으로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몸통이 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어깨와 양팔이 이루고 있는 삼각형이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대목이다. 코킹은 다음 동작으로 진행되어야하며, 테이크어웨이 단계에서 코킹이 빨리 되면 스윙의 유연함을 잃게 된다.

테이크 백은 백스윙의 첫 부분, 즉 클럽을 휘둘러 올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되도록 큰 아크(원호)를 만들어 내기 위해 비구선에 따라 대체로 50cm쯤은 똑바로 낮게 올려 나간다.

특히 잔디 위에서 칠 경우는 잔디에 닿을 정도의 느낌이 들도록 한다.

백 스윙에서 초심자에게 흔히 있는 결점은, 몸이 오른쪽으로 회전하지 않고 스웨이(Sway, 기울음)하는 것이다. 또 허리의 꼬임이 없이 왼쪽 어깨가 내려간다. 오른쪽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몸이 일어나서, 하반신의 지탱이 없어진다.

테이크 백에서는 왼손등의 방향을 체크해야 한다. 왼손목이 바깥쪽으로 꺾여 오픈 페이스로 되는 일이 많다. 오픈 페이스로 만드는 것은 톱의 위치에서 매우 편한 느낌이 들지만, 그 상태로 임팩트 하면 볼은 커트타가 되어 오른쪽 방향으로 튀어 나간다.

테이크 백에서 콕(cock)되는 손목은 왼손 엄지손가락의 방향으로 콕 되어야만 한다.

Takeway 순서

-.클럽해드가 먼저 타켓방향 뒤쪽으로 움직여 나간다.

-.어드레스시 몸과 팔의 삼각형을 유지하면서 진행한다.

-.50cm정도 내보냈을 때 왼손 엄지방향으로 코킹을 시도하면서 진행한다.

-.어깨회전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 허리의 회전(꼬임)을 시작한다.

-.허리의 회전이 순조롭게 진행될 때 무릎의 꼬임으로 답스윙을 만들어간다.

-.백스윙은 2박자의 리듬으로 여유롭게 진행하여야한다.

좋은 연습법을 소개한다. 그립의 끝부분을 배꼽에 대고 양팔은 그립 보다 더 아래 샤프트를 잡고 연습을 해 본다. 배꼽에 있는 그립 끝부분이 배꼽에 붙어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양팔로만 테이크어웨이를 해 왔다면 배꼽에서 그립 끝이 떨어지려 할 것이다. 이 연습을 반복하면서 자신만의 느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눈을 감고 연습하면 감각을 익히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