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이미 400억 투입·22% 공정률…이전설 돌아 대책 부심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건립중인 극지연구소의 부산 이전설이 나돌자 인천시가 이전 반대 입장을 분명히하고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6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428억원 예산을 지원받아 송도국제도시 5·7공구 내 3만5천887㎡ 부지에 극지연구소를 건립하고 있다.
내년 1단계 시설을 완공하기로 하고 현재 22.8% 가량 공사가 진행 중이다.
시는 부지를 20년동안 무상임대 후 매각하는 조건으로 토지를 공급했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극지연구소 부산 이전설이 불거져 나오고 있다.
다음 달 1일부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법이 발효되면 교과부 산하 한국해양연구원이 국토부로 이관되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 개편해 2016년까지 부산으로 이전된다.
이 때문에 연구원 부설기관인 극지연구소도 연구원을 따라 부산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
시는 극지연구소 건립비용으로 이미 400억원 상당이 투입됐고 송도 일대를 특수연구시설과 체험관 등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에 차질이 생긴다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우선 시의회 동의를 거쳐 극지연구소 청사건립 부지를 무상공급하겠다는 협상카드를 제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회, 정부에 연구원과 극지연구소를 분리하도록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시의회 결의문 채택, 성명서 채택 등 이전반대 공식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미 상당한 예산이 투입돼 공사가 진행중인 극지연구소를 부산으로 옮겨가면 예산낭비가 될 뿐만 아니라 송도경제자유구역에 특수연구단지를 만들려던 계획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며 “극지연구소가 중앙정부의 오락가락 행정의 희생물이 되지 않도록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7일 기초기술연구회 이사회에 극지연구소 분리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