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인천AG 함께 다시 뛰자] (上) 첫 단추 잘못 끼운 인천시

주경기장 신축 고집… ‘재정난’ 자초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인천AG)가 인천시의 재정 위기와 맞물리면서 성공적인 개최 여부가 불투명 해지고 있다.

인천시는 부족한 인천AG 재원을 중앙 정부 지원을 통해 해결하려는 움직임 이지만 중앙 정부도 재원 부족과 관련법 근거 부족 등으로 사정이 녹녹치 않다.

인천AG은 국제사회의 약속을 통해 치뤄지는 국가 행사이고, 더우기 개최를 2년 앞둔 현재 상황에서는 인천시와 중앙정부간의 명분 공방보다 성공적인 개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본보는 3회에 걸쳐 인천아시아경기대회 현황을 짚어보고 향후 해결 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편집자주

송영길 인천시장은 최근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인천AG) 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수준(국비지원 75%)의 국비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중앙 정부가 인수해서 치뤄야 할 형편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인천AG 경기장 등 총 건설사업비 1조9천446억원 중 70%의 국비지원이 이뤄지기 전에는 개최가 불가능해 평창 수준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평창은 별도의 특별지원법이 제정돼 높은 국고 지원이 가능하지만, 인천 AG은 공사비의 30%까지만 지원받는 일반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을 적용받는데 그치고 있다.

문학경기장 개·보수 권고 무시 ‘정부지원 안 받는다’ 각서까지

“市재정 문제 자초한 원죄 차원 적극적 해결책 마련 모습 보여야”

지원을 위해서는 인천AG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지만 정부와 국회 모두 특별법 제정에 미온적이다.

중앙 정가에서는 인천AG는 중앙정부 지원 보다 인천시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인천AG의 재원 문제는 첫 단추를 잘못 끼운 인천시의 책임이 크다.

인천시는 지난 2007년(당시 안상수 전 인천시장) 인천AG을 유치하면서 “서구 주경기장을 신축하지 말고 문학경기장을 개·보수해 사용하라”는 중앙정부의 권고를 무시한채 국비지원을 받지 않겠다는 각서까지 써주면서 주경기장 건설을 고집했다.

송영길 시장 역시 2010년 취임 당시 서구 주경기장 건설 중단 입장을 밝혔지만 서구지역 주민 등의 반발에 부딪혀 결국 건설 추진을 선택했다.

여하튼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인천AG 특별법 제정이 최우선인 만큼, 인천지역 정치권은 물론 중앙 정부와 19대 국회 등에 인천AG 중요성 설명과 설득 노력이 시급하다.

특히 수도권 3개 광역단체장들이 참여하고 있는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등을 통한 송 시장 중심의 정치적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40억 아시아인 축제인 인천AG의 상징성 및 인천AG 차질 시 우려되는 국가적 이미지 훼손 문제 등을 수도권 3개 광역단체만이라도 먼저 공감한다면 중앙 정부 설득 과정에서도 도움을 기대할 수도 있다.

인천시는 인천AG 재정 문제를 자초한 원죄 차원에서라도 해결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시기이다.

글 싣는 순서

上 첫 단추 잘못 끼운 인천시

中 인천-국가 이미지 동반 훼손 우려

下 정부도 성공개최 힘 보태야

 

김미경 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