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불신에 쟁점도 없어 40% 초반 우려…각당 전략 부심
인천의 낮은 투표율이 19대 총선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29일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인천지역의 정치불신이 극도로 높아진데다 여·야 간 뚜렷한 핵심 쟁점도 없어 평균 투표율이 50%대를 넘지 못할 거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최악의 경우엔 18대 총선 때와 같이 40% 초반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투표율 높이기에 비상이 걸렸다.
접전지역 여론조사에서도 투표율이 50%대에 그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정당과 후보들도 저투표율을 염두에 둔 새로운 선거전략을 모색하는 등 비상이 걸린 상태.
통상 투표율이 낮을 경우엔 지역에서 지지세가 강한 정당 및 후보가 유리하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조직력을 갖춘 일부 여·야 성향의 무소속 후보들이 등장함에 따라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선거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한 자유선진당, 통합진보당, 진보신당, 국민생각, 정통민주당 등 다른 군소정당들은 지역구 당선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정당 지지율 목표조차 채우기 어렵다는 고민이 가중되고 있다.
새누리당, 민주통합당 인천시당 선거대책위원회는 접전지역에 중앙당 거물급 정치인들의 지원유세를 계획하는 등 특단의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조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무소속과 군소정당 후보들은 ‘인물 대결’ 구도 설정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선거전문가들은 “새누리당 후보들과 민주통합당 후보들이 접전을 펼치는 곳에서는 결국 어느 쪽에 결집력이 더 있느냐가 승부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18대 총선에서는 인천지역 투표율이 42.5%에 그쳤으며 12개 선거구 중 당시 한나라당이 의석 10개, 민주당이 2개를 차지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