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인력 채용 예산없어 ‘인력 재활용’…
인천의료원 이사회 “출범하는데 의의, 의료진이 연구업무 겸직” 결정
인천시가 공공의료 정책 강화를 위해 설립할 예정인 인천의료원 산하 정책연구소가 연구인력 부족으로 기능 상실 우려를 낳고 있다.
이는 별도의 연구인력을 채용할 예산이 없어 인천의료원 내 인력을 재활용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인천의료원 이사회는 27일 인천의료원 공공의료 정책연구소를 만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애초 별도로 7명의 연구인력을 두기로 한 것과는 달리 기존의 의학박사 등 인천의료원 인력을 활용해 겸직하도록 하고 인원도 4명으로 줄었다.
이사회는 지난 1월 7명의 연구인력을 채용해 정책연구소를 설립하자는 안건이 상정됐을 때 인건비 등 예산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반려했다.
인천의료원이 누적 적자 413억 원(2010년 기준)에 달할 정도로 재정여건이 어려운데 최소 연간 2억~3억 원가량을 들여 정책연구소를 운영하기가 쉽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 등은 일단 연구소를 출범하는 데 의의를 두기로 하고 추가 인건비가 필요하지 않은 ‘겸직’이라는 대안을 내놓았다.
이 때문에 정책연구소가 출범한다고 하더라도 연구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을 사고 있다.
인천 공공의료 정책연구소는 올해만 하더라도 인천시 공공의료 기능개편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 인천시 중점 건강관리사업 선정, 인천의료원 건강증진병원 모형 개발, 건강증진병원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방안 연구, 인천지역 의료 안전망 구축방안 연구 등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진료를 우선시 하는 의사나 의료진들이 ‘연구’ 업무까지 떠맡게 되면 제대로 연구기능을 하기가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인발연)과 연계해 공공의료 정책을 연구하더라도 인발연으로서는 전문적으로 의료분야를 연구하기에는 학문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장정화 참의료실천단장은 “공공의료 정책연구소는 시혜 차원의 공공의료 사업이 아닌 공공의료의 기둥을 만드는 사업”이라며 “시작하는데만 의의를 두지 말고 연구인력을 보강해 내실을 채워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정책연구소가 정식으로 출범하게 되면 인천시나 인천의료원 내 인력을 십분 활용하도록 하면서 조금씩 자리 잡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