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장시설·관련사업 유치 등 신청 전무 오랜 경기침체로 신뢰잃어 상인들 되레 외면
“무슨 특구다, 문화지구다, 죄다 말뿐입니다.”
15일 오후 2시께 인천시 중구 신포동 월미관광특구에 있는 한 상가 건물.
최근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에 포함됐지만 1년여가 넘게 건물 3층은 주인을 찾지 못해 비어 있는 등 여전히 활력을 찾아볼 수 없다. 이 건물을 30여 년 간 소유하고 있는 A씨(55·여)는 되레 1·4층 임대인이 가게 문을 닫고 나갈까 봐 지난달 임대료를 내려줬다.
A씨는 “월미관광특구다, 개항장 문화지구다 발표해도 한정된 곳만 사람이 몰리지 대다수 상점이 여전히 경영난에 허덕인다”며 “누가 침체된 지역에 장사하러 들어오겠느냐”고 말했다.
인근에서 30여 년 간 양복점을 운영하는 B씨(66)도 특구에 대한 기대는 크지 않다.
양복점이 개항장 문화지구 내 권장업종이기에 증·개축할 경우 저리로 융자까지 받을 수 있지만, 가뜩이나 손님도 없는데 굳이 돈을 들여 양복점을 리모델링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인천시 중구가 신포동 일대를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로 지정했음에도 상인들에게 외면받고 있다.
15일 중구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신포동 일대가 개항장 문화지구(53만7천114㎡)로 지정돼 지난 1일부터 상인과 건물주로부터 공연·전시·수공예·편의 등의 권장시설 설치 시 취득·재산세를 50% 감면해주고 시설비 저리 융자 등을 위한 신청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권장시설 및 관련 사업을 유치하겠다고 신청한 상인이나 건물주는 단 한 명도 없다. 상인들이 이미 오랜 경기침체로 지역에 대한 신뢰를 잃은데다, 관광객들이 찾는 지역마저 한정돼 상인·건물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가 단순히 특구나 지구지정에 그칠 것이 아니라,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주차시설 확충 등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아직 초기다 보니 상인과 건물주들의 호응이 적은 것 같다”며 “상인들을 상대로 문화지구에 대한 홍보 등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