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포시, ‘인천시 김포시’ 될지도”

유 시장, 본보 인터뷰서 “인천 김포시 될 가능성도… 주민 결정 따를 것”

유영록 김포시장이 주민들이 원한다면 인천시와도 통합할 수 있다고 밝혀 인천과 김포와의 통합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유영록 김포시장은 5일 본보와의 단독인터뷰에서 “주민 뜻에 따라 통합지자체가 경기도 김포시가 아닌 인천시 김포시가 될 가능성도 있다”며 “김포시와 인천의 강화군, 서구·계양구 일부 통합안은 이들을 김포로 흡수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지역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포시는 최근 대통령 직속 지방행정체제 개편추진위원회에 경인아라뱃길 북쪽인 김포시와 강화군, 서구·계양구 일부를 통합(768.8㎦ 인구 53만여명)하는 행정구역 통합건의서를 제출했다.

 

유 시장은 “통합 후 어떤 광역 단위로 갈 것인지, 아니면 하나의 거대도시로 남을 것인지는 주민들의 결정에 따를 것”이라며 “통합 지자체가 충분한 역량을 가진 만큼 특정 광역지자체를 염두에 두고 있지 않지만, 주민들의 의사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추진위는 오는 6월까지 김포시의 건의안을 비롯해 전국 22곳 건의안에 대해 타당성을 검토한 뒤 주민투표로 확정 지을 계획이다.

 

김포시의 건의안대로 오는 2014년 통합지자체가 출범하게 되면 서부 수도권 일대의 각종 현안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그동안 인근 부천, 시흥 등과 함께 김포시와 통합을 추진했던 인천시도 통합이 성사된다면 지역 발전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희망을 내비쳤다.

 

인천시 관계자는 “김포시의 통합안은 시·도 간의 경계조정으로도 볼 수 있는 만큼 정확한 부분은 공식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주민들의 뜻이 모여 통합이 이뤄진다면 강화의 주민생활 불편도 해결되고 검단신도시도 한강신도시와 상승효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채은경 인천발전연구원 박사는 “작게는 경계 조정, 크게는 같은 생활권을 가진 행정구역의 통합으로 볼 수 있으며 행정의 효율성, 지역 발전 등의 측면에서 논의 필요성은 충분하다”며 “아직 가야 할 단계가 많이 남은 만큼 지역 주민들의 여론 수렴과 지방의회의 논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