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산업 유치 서민경제 살리자

‘인천 어젠다 선정’ 시민 대토론회, 지역발전·국민생활 36개 어젠다 발표

인천언론인클럽과 인천발전연구원은 31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인천 어젠다 선정’ 시민 대토론회를 열어 지역발전 어젠다 25개와 국민 생활 현안 어젠다 11개 등 총 36개 어젠다를 발표하고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었다.

 

지역발전 어젠다는 강화·옹진군 수도권 규제 제외,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제3 연륙교 조기 건설, 경인국철 지하화, 인천 경제자유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 제외 등 25개다.

 

또 국민 생활 현안 어젠다는 서민·중산층 주거복지지원, 기업형 슈퍼마켓 입점 허가제 도입, 국가업무와 지방자치업무 재조정 등 11개가 제시됐다.

 

남세종 인천경실련 고문은 인천 어젠다 선정 방향으로 미래산업 유치와 기존 사업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서민 경제·복지 향상, 인천시의 부채 경감 및 인재양성 등을 제시했다.

 

특히 일자리 창출과 관련,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인천공항·항만 배후물류단지를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에서 제외하고, 중소규모의 산업단지 확충 및 이원화된 국가·지방산업단지를 통합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갑영 인천대 부총장은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하는데 어젠다의 발굴과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병일 인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정부정책 방향 및 기조에 대응해 실질적으로 추진 가능성이 큰 현안을 중심으로 인천 어젠다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원 문화일보 부장은 인천 어젠다 선정에 있어 ‘물류’와 ‘관광’을 중시해 지역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견인차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이 부장은 “개성공단, 경인운하, 인천항만 등을 통한 남북 물류를 활성화하고 정부와 북한을 상대로 남북 물류 활성화 당위성과 필요성을 끊임없이 설득해야 한다”며 “아울러 면세점 유치, 영종도에 초대형 뷰티센터 설립 등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볼거리, 살 거리, 묵을 곳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어젠다는 오는 10일까지 본보 등 주요 언론사 및 포털에서 온라인 투표를 거쳐 오는 14일 순위를 발표한다.

 

박혜숙기자 phs@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