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어젠다 선정’ 시민 대토론회, 지역발전·국민생활 36개 어젠다 발표
인천언론인클럽과 인천발전연구원은 31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인천 어젠다 선정’ 시민 대토론회를 열어 지역발전 어젠다 25개와 국민 생활 현안 어젠다 11개 등 총 36개 어젠다를 발표하고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들었다.
지역발전 어젠다는 강화·옹진군 수도권 규제 제외,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제3 연륙교 조기 건설, 경인국철 지하화, 인천 경제자유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 제외 등 25개다.
또 국민 생활 현안 어젠다는 서민·중산층 주거복지지원, 기업형 슈퍼마켓 입점 허가제 도입, 국가업무와 지방자치업무 재조정 등 11개가 제시됐다.
남세종 인천경실련 고문은 인천 어젠다 선정 방향으로 미래산업 유치와 기존 사업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서민 경제·복지 향상, 인천시의 부채 경감 및 인재양성 등을 제시했다.
특히 일자리 창출과 관련,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인천공항·항만 배후물류단지를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에서 제외하고, 중소규모의 산업단지 확충 및 이원화된 국가·지방산업단지를 통합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갑영 인천대 부총장은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하는데 어젠다의 발굴과 체계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정병일 인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정부정책 방향 및 기조에 대응해 실질적으로 추진 가능성이 큰 현안을 중심으로 인천 어젠다를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원 문화일보 부장은 인천 어젠다 선정에 있어 ‘물류’와 ‘관광’을 중시해 지역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견인차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이 부장은 “개성공단, 경인운하, 인천항만 등을 통한 남북 물류를 활성화하고 정부와 북한을 상대로 남북 물류 활성화 당위성과 필요성을 끊임없이 설득해야 한다”며 “아울러 면세점 유치, 영종도에 초대형 뷰티센터 설립 등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볼거리, 살 거리, 묵을 곳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어젠다는 오는 10일까지 본보 등 주요 언론사 및 포털에서 온라인 투표를 거쳐 오는 14일 순위를 발표한다.
박혜숙기자 phs@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