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청렴시책 효과… 지난해 14위→7위로 ‘껑충’
매년 국민권익위원회의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꼴찌를 면치 못했던 인천시가 올해는 서울과 부산시를 제치고 하위권을 탈출했다.
14일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에 따르면 한국리서치 등 3개 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해 민원인과 공직자를 대상으로 ‘2011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를 설문조사한 결과 인천시가 종합청렴도 8.49점을 받아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7위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14위에서 7단계나 수직으로 상승한 것이다.
평가결과를 보면 외부청렴도는 8.78점으로 지난해보다 0.22점, 내부청렴도는 8.30점으로 지난해보다 0.61점이 각각 상승했다.
외부청렴도는 투명성 지수인 업무처리 공정성, 이의제기 수월성과 책임성 지수인 업무처리결과의 신뢰성 등이 향상됐고, 특히 소방시설 점검분야가 9.45점으로 월등한 상승을 보였다.
내부청렴도는 업무청렴지수인 인사업무·예산집행·업무지시 공정성과 청렴문화지수인 조직문화와 부패방지제도 부문이 지난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시가 청렴도 평가에서 2007년 14위, 2008년 10위, 2009년 12위, 지난해 14위로 수년째 하위권을 맴돌다 올해 7위를 차지한 것은 전국 광역시 최초로 청렴 교육의무 이수제 시행, 직무관련 공무원 고발기준 제정, 부패행위 신고의무 불이행 공무원 처분강화 등 청렴 이행 시책을 강도 높게 펼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에는 4급 이상 간부공무원 청렴도를 평가하고 내부고발자 보호방안 추가 마련과 청탁등록시스템 구축 운영, 대학생 청렴봉사 홍보단 발족 운영, 청렴도 향상 유공자 인센티브 제공 등 청렴도 제고를 위한 시책을 추가 시행할 방침이다.
김장근 감사관은 “이번 성적이 만족할 수준은 아니지만, 그동안의 청렴 시책 추진 노력이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했다고 본다”며 “인천시 청렴도가 상위권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권익위의 청렴도 평가에서 1위는 경기도가 차지했고 부산시는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