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수도권매립지공사 매입자금 태부족
인천시가 지역 내 수도권매립지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국가공기업의 지분 확보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역 내 얽힌 현안 해결 등을 위해 이들 공사의 지분을 일정부분 확보하고 싶지만, 정작 주주들은 지분을 팔 의사조차 없는데다 지분을 사들일 막대한 자금을 마련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8일 시에 따르면 시는 서울시와 환경부가 가진 수도권매립지의 지분과 민영화 예정인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지분 등 국가공기업의 지분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들 공사의 지분을 확보하면 쓰레기 매립장 주변지역 악취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인천공항과 연계해 영종도 지역 개발사업과 교통시설 조성 등이 원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시가 최근 수도권매립지 지분을 가진 서울시(71.3%)와 환경부(28.7%)에 지분 매각 의사를 타진했지만, 지분을 넘길 의향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서울시의 지분을 가져오는 게 힘들다면, 환경부의 지분을 경기도와 각각 14.35%씩 나눠 받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서울시와 환경부가 지분을 넘긴다 해도 매입자금 마련이 문제다. 매립지 관련 협정서 체결 당시(1989년) 부지 매입비용이 523억 원에 불과했지만 20여 년이 지나면서 땅값이 크게 올라 현재 수도권매립지의 시세가 총 1조 5천억 원(추정)에 달해 목표 지분 14.35%를 사려면 2천100여억 원 이상이 필요하다.
인천공항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정부가 저소득층 위주로 국민주 매각을 기본 방침으로 세웠기 때문에 당장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는데다, 목표 지분 5%를 확보하려면 현재 공항공사 자본금 3조 6천178억 원 기준으로 1천809억 원이라는 막대한 매입자금이 필요하다.
시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반입료 일부가 서구지역 환경개선 등에 잘 쓰이는지 등을 감시하거나, 영종도 주변개발을 위해선 공항공사의 협조가 필요해 두 공사의 지분 확보가 중요하다”며 “당장은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어 추진이 힘들지만 계속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