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연륙교 건설 불확실 속 LH 재정난까지 겹쳐 사업 불투명
인천시가 추진 중인 서울지하철 7호선 영종도 연장 사업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영종도 연장이 인천국제공항과의 연계 등 필요성은 있지만, 사업성이 떨어지는데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비 부담에 소극적인 자세로 돌아섰고 제3 연륙교 건설마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5일 시에 따르면 총 2조 166억 원의 사업비로 서울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석남동~청라지구~영종까지 총 연장 16.7㎞ 구간을 이어 인천국제공항 주변을 도는 영종 자기부상열차와 환승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중 3천831억 원이 투입되는 부평구청역~석남동 간 3.9㎞는 국토해양부의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지만, 석남동~청라지구~영종도 구간은 경제성이 떨어져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우선 석남동~청라지구 9.9㎞ 구간에 대한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현재로서는 비용 대비 편익비율(B/C)이 기준치(1)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이 구간은 사업비가 1조 2천955억 원에 달해 경제성 확보를 위해선 청라지구 사업시행자의 사업비 부담이 필요하지만, LH가 재정상황이 악화되면서 소극적인 자세로 돌아섰다.
또 청라지구~영종도 2.6㎞ 구간은 제3 연륙교를 활용해 사업비를 3천380억 원으로 낮췄지만, 제3 연륙교 건설 자체가 정부의 반대로 불확실해진 상황이다.
특히 서울지하철 7호선 영종도 연장은 경기도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추진키로 합의했으나, 경기·서울은 서울지하철 4(진접선)·5(하남선)·6(구리·남양주선)호선과 7호선 의정부·양주·포천 연장에만 집중하며 외면하고 있다.
현재는 지자체 시행 철도사업이지만 경기·서울의 행정적 지원이 있어야 국가시행 광역철도사업으로 전환돼 국비를 60%에서 75%까지 더 지원받는 등 사업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공항과 청라지구, 서울 강남까지 이어지는 철도로 구도심 내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는 등 꼭 필요한 사업이다”며 “타당성 조사가 끝나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서는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특별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