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로 교묘해지는 신종사기 주의보>

며칠 전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다는 신고 내용을 들어보니 피해자의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당해 수사 중이라며 경찰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왔고, 담당검사가 전화 올 것이라며 끊었다고 한다.

 

그리고 상황판단을 할 겨를도 없이 바로 담당검사라는 사람이 전화가 와서 피해자가 갖고 있는 계좌 및 카드를 파악해야 하니 조사에 협조해야 한다는 말을 했으며, 미심쩍으면 피해사실을 직접 확인하라며 인터넷 주소를 알려주었다고 한다.

 

그 주소는 실제 경찰청 홈페이지와 비슷한 사기 사이트였고, 피해자는 컴퓨터 안내에 따라 계좌번호와 신용카드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했다.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예금은 물론 카드론 대출까지 받아 상당한 금액을 빼앗긴 후에야 자신이 신종보이스피싱에 당한 것을 알고 신고한 것이다.

 

또한, 최근 보이스피싱을 당한 사례로, 전화 받은 피해자가 보이스피싱을 의심하자 법무부가처분명령서라는 내용의 공문처럼 보이는 팩스를 받게 하여 믿도록 하여 계좌이체 하게 하는 신종 수법도 있다.

 

다른 수법으로는 계좌이체를 잘못해서 그러니 통장에 들어온 돈을 자신의 계좌로 보내달라고 전화를 하여 돈을 이체하게 만드는 수법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만약 모르는 돈이 통장에 들어오면 일단 의심을 하고, 이체를 잘못했다는 전화가 오면 당사자끼리 해결하는 것 보다 은행에 확인을 먼저 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다.

 

최근 신종보이스피싱은 인터넷뱅킹 정보와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해서 카드론 등 대출을 받아 이체하게 만들기 때문에 피해액도 수천만원에 이른다.

 

금융감독원은 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있어 신종전화금융사기 주의보까지 현재 발령한 상태이며, 금융회사들도 주의보를 고객들에게 알리고, 피해 발생 시 예금 지급을 정지할 수 있도록 경찰과 협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신종보이스피싱을 당한 피해자들은 한결같이 공문도 보여주고, 심지어 홈페이지도 확인 되어 쉽게 홀리게 되었다고 말한다. 절대 전화로 카드번호나 통장 계좌번호 알려줘서는 안되며, 본인의 통장에 알지 못하는 돈이 입금되면 반드시 사기임을 인지하는 등 신종보이스피싱 사기에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여야겠다.

 

인천계양경찰서 순경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