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스티스잡스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동양과 서양의 문화를 융합하여 IT 분야의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 인류문화를 변화시켰다.
각각의 음식의 원재료에는 저 마다의 특성과 개성이 있다. 원재료 단일로도 특성과 개성 제 맛을 으뜸으로 내기도 하지만, 둘 이상의 음식 원재료가 융합되어 더 맛나는 것이 우리나라 음식의 특징이다.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장에 고추와 붉은 색 가득한 고추를 찍어 먹어도 색다른 맛을 느끼는 것이 맛 융합의 원리다. 장 종류와 잡곡밥, 선식 종류 등 융합 음식 종류는 쉽게 찾을 수 있다. 음식 맛을 내기 위하여 조미료를 가미하기도 하지만,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세계적인 음식이 된 김치가 대표 선수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비빔밥은 반찬 종류를 더 많이 넣어 비빌수록 더 좋은 맛과 향으로 미각을 돋구어 주어 밥 종류에서 융합 문화의 으뜸이다.
특히 우리나라 문화는 융합의 문화가 강점이다.
동서양의 문화가 기존의 우리 문화에 무엇인가만 만나면 흡수 통합되어 의식주와 놀이, 여가, 기술면에서 보다 더 낳은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고, 고부가 가치 문화가 생성, 이어져왔다. 지금의 우리나라 반도체 제품 또한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세계 으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 그 맥락이다.
자동차, 조선업과 관련된 산업은 융합 기술과 부품이 많아서 자동차, 배의 판매대 수에 따라 흥망성쇠가 좌지우지 됨이 그 특징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다종교가 공존하고, 둥글둥글 융합하여 서로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고 사는 나라도 드문 것이 융합 문화의 강점인 것이다.
요즘 자신의 견해를 일목요연하고, 그 흐름을 초지일관으로 논리정연하게 전개하는 독서논술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과거의 문장제술 과거시험과 유사한 것이지만, 창의적, 창조적 사고력을 평가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타인의 견해를 이해한 다음, 새로운 안을 절충하고 통합하여 보다 더 좋은 안을 수립하는 것이 발전 지향적인 사고이다.
다중지능 학습 체험도 이와 비슷하다. 하나의 주제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학습 경험, 상호협동학습 체험을 하여 통합적으로 지적인 사고력을 길러주는 데 융합 학문을 추구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학생들이 지식을 주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과제를 교과별로 제시하다 보니 학문간의 융합을 통한 학습 과제 해결 경험을 하기 어렵다. 그러나 독서논술이나 논술학습 과제는 학문간의 융합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키려 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에 의한 다교과지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학문간의 융합을 이용한 학습 과제를 제시하여 통합적인 사고와 능력이 형성되게 해 주어야 한다.
예시로 국어와 사회, 수학, 과학을 통합한 과제해결 경험, 예체능 교과를 통합한 표현능력 신장을, 주지교과와 예체능교과간의 통합, 융합과제 제시로 신장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를 그림으로, 음악으로, 신체움직임 표현으로, 수학적으로, 과학적으로, 사회적으로 재구성한다면 어떻게 할까?" 하는 등으로 융합과제 제시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고민한다면 학생들이 학습하는 것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교과간의 벽을 허물고 통합학문 학습이 되어야 융합 문합의 장점처럼 새로운 학습의 도약으로 노벨상에 도전하고, 글로벌 인재 육성의 가능성이 좀 더 높아질 것이다.
경기도화성오산교육지원청
장학사 박현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