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이 지난 7월 내린 호우로 수해를 당한 지역에 대한 복구에 나서고 있으나, 관련 예산 확보문제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중장비업자들까지 근로시간 준수 등을 요구하며 장비 공급을 중단, 난항을 겪고 있다.
6일 군에 따르면 지역에는 지난 7월2~3일과 7월8~14일, 7월26~29일 등 모두 3차례 쏟아진 호우로 600여곳에서 수해가 발생, 365억7천300만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피해 내역별로는 소규모시설 148곳(124억2천600만원), 소하천 71곳(69억6천700만원), 지방하천 35곳(65억1천100만원), 수리시설 13곳(13억3천300만원) 등이다.
군은 이에 따라 국비 180억2천800만원(48%), 도비 63억8천600만원(19%), 군비 121억5천900만원(33%) 등을 들여 복구작업에 나설 예정이나, 이 가운데 도비 6억3천700만원과 군비 110억원 등을 확보하지 못해 공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양평읍 도곡3리 도곡천의 경우, 지난 7월 호우로 일부 제방들이 무너진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용문면 덕천리 용문천, 양동면 쌍학리 석곡천 등 소하천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이런 가운데, 최근 지역 중장비업자들이 근로시간 준수를 요구하며 수해복구공사를 담당하는 지역 전문건설업체들에 대한 장비 공급을 거부하고 있다.
지역에는 굴삭기 487대와 덤프트럭 113대 등이 등록돼 영업하고 있다.
이때문에 지역 전문건설업체들은 지난 16~17일 김선교 군수를 만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양평 전문건설협회 관계자는 “수해복구가 급한데, 중장비업자들이 근로시간 준수 등을 요구하며 공급을 중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군수는 이에 지난 18일 양평군 중기연합회 관계자들과 면담하는 등 중재에 나서고 있으나 이견을 좁히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군 고위 관계자는 “지난 7월 수해현장 가운데 상당 부분이 관련 규정상 자체 복구해야 할 피해액 5천만원 이하 지역이어서 더욱 어려움이 많은데다, 최근 중장비업자들의 공급을 중단하고 나서 어려움이 많아”며 “내년 예산에 나머지 부족 부분을 편성, 복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양평=허행윤기자 heoh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