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방치… 재산권 피해 심각”

안산 대부동 일대 구봉유원지 토지주들 개발 지연에 반발… 市에 대책마련 호소

안산시가 개인 사유지가 포함된 단원구 대부동 수백만㎡를 유원지 부지로 지정한 뒤 재정여건 등을 이유로 10년 넘도록 개발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있어 토지주들이 반발하고 있다.

 

27일 시와 유원지 지구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1년 4월 단원구 대부북동 1865의 18 일대 구봉지역 54만420㎡와 선감동 일원 178만6천996㎡, 대부남동 메추리 일원 98만2천919㎡ 등 총 3개 지역 331만335㎡를 유원지로 결정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선감유원지는 경기도의 주도로 ‘도립수목원’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메추리유원지의 경우 대기업에서 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구봉유원지의 경우 별다른 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채 10여년째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구봉유원지 토지주들은 “10여년째 도시계획시설상 유원지로 지정돼 있어 일체의 개발 행위가 제한되는 등 심각한 재산권 피해를 입고 있다”며 시 차원의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토지주들은 지난해 시가 대부동 지역에 대한 2차 재정비 계획을 추진하면서 대부남동 쪽박섬 유원지(11만1천750㎡)를 폐지키로 했음에도 구봉유원지는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현재 대부도 유원지 개발방향과 적정규모를 판단하기 위해 사유지가 가장 많은 대부동 일대 사업부지에 대한 유원지 타당성 조사 및 개발계획수립 용역을 발주, 중간보고회까지 마친 상태다.

 

토지주 김모씨(52)는 “유원지로 지정되지 않은 토지와의 가격 차이도 심각하지만, 무엇보다 재산권 행사를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당초 목적대로 유원지로 개발을 하든지 재정 등으로 인해 개발이 어렵다면 유원지를 폐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용역결과를 근거로 세부실천 계획을 수립,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 재정비 등을 검토할 방침”이라며 “그동안 재정여건이 좋지 않아 유원지 개발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