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장애인AG ‘걱정되네’

인천시가 오는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준비에만 집중하고 대회 이후 곧바로 열리는 장애인AG은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해 대회 개최에 빨간불이 켜졌다.

 

현재 상태라면 아예 대회를 열지 못하거나 연다고 하더라도 예산이 없어 반쪽짜리 대회에 그칠 수 있는데다 자칫 한겨울에 대회를 치를 수도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8일 시에 따르면 2014 인천AG가 끝난 후 10월 18~24일까지 600억원을 들여 23개 종목에 6천여명(40개국)의 선수와 임원이 참가하는 2014 인천장애인AG을 열 계획이다.

 

그러나 시가 대회 개최 3년여를 앞둔 현재까지 이렇다 할 준비를 하지 못하면서 조직위원회조차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지난해 10월 중국 광저우 총회에서 스폰서 확보 등 마케팅이 중복된다는 이유로 AG 전후 90일 이내 다른 국제행사 개최를 금지토록 헌장을 개정, 시가 이후 OCA 눈치 보기에 급급해 사실상 대회준비에 손을 놨기 때문이다.

 

반면, 지난 2002년 대회를 치른 부산의 경우 4년 전에 이미 조직위를 구성하고, 체계적으로 대회준비에 나선 것과 비교된다.

 

결국 지난해 광저우 대회 후 대회기 인수에도 정무부시장이 현지에 있었지만 직접 받지 못했고, 한국장애인올림픽위원회(KPC)가 대신 받아 보관하고 있다.

 

시는 KPC 등을 통해 OCA에 항의하고 있을 뿐, 적극적으로 OCA를 설득하지 못하고 있다. 만약 OCA 헌장에 따라 진행되면 장애인 AG은 12월 중순께나 열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앙정부도 국비 지원에 소극적이다.

 

시는 부산대회 국비보조 수준(총 운영비의 65%)의 예산을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미 기획재정부가 내부적으로 각종 국제행사 운영비의 국비지원율을 30%로 방침을 정한데다 문화체육관광부조차 예산지원에 비협조적인 분위기다.

 

이러다 보니 국비 확보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막대한 예산 등 행·재정적 투입이 쉽지 않아 현재 계획인 내년 2월 조직위 구성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우선 아시아장애인올림픽위원회(APC)를 통해 OCA를 설득하는 게 급선무”라며 “이후 정부와 협의해 국비 지원을 부산 수준까지 이끌어내고 나서 조직위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