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지난해 23만9천명…2005년 比 17% 늘어 취약계층 일자리, 2009년 대비 올해 절반으로 ‘뚝’
경기도의 실업자 수가 5년 만에 17% 증가하고, 청년 실업률도 8.5%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경기도와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경기도 실업자 수는 23만9천명으로 지난 2005년 20만5천명에 비해 17% 증가했다.
실업률도 지난 2007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에는 전국 평균 3.7%보다 높은 4%를 기록했으며, 특히 청년 실업률은 8.3%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사회적 취약계층의 지원하기 위한 경기도의 사회적 일자리 예산 및 일자리 수는 오히려 줄었다.
국회 윤상일 의원(미래희망연대)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사회적 일자리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 6천425억3천500만원이었던 예산이 2010년 4천286만2천500만원, 2011년 3천435만1천600만원으로 해마다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일자리도 ▲2009년 10만7천701명 ▲20010년 7만8천375명 ▲2011년 5만228명으로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관련 올해 예산이 지난 2009년에 비해 46.5%(2천990억원)나 감소하고, 일자리 수 역시 53.4%(5만7천473명)나 줄어든 것이다.
분야별로는 문화·교육·환경 등에 2009년 461억1천800만원을 배정했으나 2011년에는 절반 수준인 291억1천만원으로 감소했다. 이중 녹색환경 일자리 창출사업은 383억3천700만원(2009년)에서 159억1천800만원(2011년)으로 대폭 줄었다.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사업 예산도 4천158억4천300만원(2009년)이 던 것이 올해에는 5배 정도 줄어든 901억8천만원밖에 배정되지 않았다.
보건·복지 분야는 올해 2천242억2천600만원을 책정, 지난 2009년 1천805억7천400만원보다 436억5천200만원 증액했으나, 노인 일자리 사업은 395억7천400만원으로 43.5%(2009년 435억9천500만원) 감소했다. 이 때문에 노년시대 노인들의 일자리는 1만1천458명으로 줄었다. 윤 의원은 “사회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경기도의 예산과 일자리 수가 역행하고 있다”며 “특히 청년들의 취업률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대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강해인·김창학기자 ch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