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중소기업 녹색인증 획득 저조

인천지역 중소기업들의 녹색인증 획득 건수가 다른 시·도에 비해 극히 적어 시 차원의 대책마련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녹색인증제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따라 녹색산업 기술, 전문기업 등을 선정해 전문성을 인정해주는 것으로, 지난해 4월 처음 도입됐다.

 

녹색인증을 받으면 국가로부터 자금, 세제, 마케팅, 연구개발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8일 인천시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8월까지 인천지역중소기업의 녹색인증 획득건수는 16건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에서 같은 기간 총 434건을 획득한 것에 비해 5%에 불과한 저조한 수치다.

 

인천지역 기업이 녹색인증 획득에 소극적인 것은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비용·시간 부담이 커 중도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녹색인증을 획득하려면 100만원 이상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고, 인증 획득 절차도 까다로워 중소기업 스스로 진행하기엔 어려움이 많아 시가 녹색인증 획득 비용과 컨설팅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지역 환경전문가들은 “인천은 아직까지 녹색산업에 대한 인식이나 정보가 부족해 녹색인증 획득건수가 다른 지자체에 비해 적은 편이다”며 “시 차원에서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녹색인증제 획득 지원, 교육 등을 추진해 중소기업의 녹색산업 진출을 도와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녹색사업이란 정부가 지정한 녹색성장 관련 산업에 포함된 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첨단수자원, 그린IT, 그린차량·선박, 첨단 그린주택도시, 신소재, 청정생산, 친환경농식품, 환경보호·보전 사업 등이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