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가 오는 11월 ‘국립대학법인 인천대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국회 통과에 총력을 기울인다.
내년 4월 총선이 예정된만큼 연내 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면 사실상 자동 폐기되거나 장기 표류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갑영 인천대 부총장은 6일 “지난 2005년부터 인천대 국립대 법인화 추진을 두고 학내는 물론 지역에서 갈등을 겪고 있다”며 “대학 발전을 위해 여야를 막론하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마지막으로 발 벗고 나서줘야 한다”고 밝혔다.
인천대 국립대 법인화와 관련, 6년 전 시민 130만명 서명을 시작으로 지난 2008년 참석 교수 161명 가운데 125명(77.6%)으로부터 동의를 얻었고, 이듬해 조전혁 국회의원이 관련법 발의 후 열린 전체교수회의에서 193명 가운데 191명이 법인화 법안 추진에 동의했다.
지난 5월 인천대 국립대 법인화 찬반과 관련,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학생신문사 주관)를 통해서도 65%가 찬성했고, 이어 지난달 2일 구 인천전문대 교수 141명 가운데 121명(86%)으로부터 지지 서명을 받았다.
하지만 김철홍 교수 등 45명은 인천시가 약속한 전문대 통합지원금과 법인화 전환 발전기금 등 법인화 추진 문제점들을 먼저 해결하고 국립대 법인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며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특히 대학 측은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서울대 등 기본 국립대 법인화는 대학 경쟁력 강화가 주목적이지만, 인천대의 국립대 법인화는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국립대가 없는 인천에 최초의 국립대를 유치하는 것이라는 차별성을 강조한다는 전략이다.
이 부총장은 “인천대의 국립대 법인화 전환은 대학 개혁차원의 한 방안일 뿐 아니라, 교육환경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인천을 위해서도 꼭 이뤄져야 한다”며 “시민들과 대학 구성원, 정치인 등이 모두 힘을 모아 바람직한 법인화 방안을 찾고 올해 반드시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