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시켰더니”… 공공근로로 빠져나가

도내 일자리센터, 기업들 항의 전화에 시달려

폐지수집을 하던 김모씨(59)는 올 초 도내 한 일자리센터를 통해 가죽 가공업체에 취직했다. A씨는 3D 업종으로 분류되는 업체의 힘든 근무여건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중 지인으로부터 공공근로 사업이 일하기 쉽다는 얘기를 듣고 공공근로 사업에 지원, 취업한지 불과 한달만에 일을 그만뒀다.

 

이처럼 도내 각 일자리센터를 통해 취업한 구직자들이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지원 사업으로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12일 도내 각 일자리센터에 따르면 도내 31개 시·군 일자리센터는 관내 기업의 일자리 수요를 발굴, 연계해 구직자를 알선하고 있다. 하지만 애써 취업시켜 놓은 구직자들이 보다 편하고 쉬운 공공기관의 일자리 사업으로 빠져나가면서 일자리센터에 대한 기업들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공공근로 등 지역일자리사업과 취업알선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달라 구직자의 일자리사업 지원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도 문제점이다.

 

A시의 경우 최근 대형할인마트에 10여개의 일자리를 발굴해 구직자들을 취업시켰다. 하지만 이 중 일부가 불과 며칠만에 공공근로와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으로 빠져나가 해당 업체는 결국 직원을 재모집해야 했고, 이를 알선한 일자리센터 관계자는 업체에 몇차례나 사과전화를 해야 했다.

 

지역내 일자리 부족현상이 심각한 B시도 생산업체에 취직시킨 구직자들이 한달도 안돼 공공근로사업에 선정, 일을 그만두면서 업체와의 구직자 알선이 중단됐다.

 

도내 한 일자리센터 관계자는 “이런 일을 막기 위해 구직자가 찾아오면 공공근로나 다른 일자리사업에 지원했는지 여부를 물어보고 상담을 시작한다”며 “확인작업을 거쳐도 일자리사업으로 유출되는 인력이 발생하는 것은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