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율 낮추고 사업성 높여야”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세교3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취소로 인해 계획적 도시개발에 차질을 빚게 된 오산시가 입주민들의 생활권 보장과 세교지구의 사업성 제고를 위해 세교1·2택지개발지구의 통합개발 총력전에 나선다.
2일 시에 따르면 국토해양부와 LH는 오는 2016년까지 개발키로 했던 508만6천여㎡에 달하는 세교3지구개발예정지구를 지난달 6일 지정취소, 전체적인 세교신도시의 기형적 개발이 불가피하게 됐다.
그러자 시는 세교1·2지구만이라도 동일 생활권 개발 계획이 수립돼야 하고 사업성도 높이기 위해서는 통합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 정부와 국회 등을 대상으로 한 통합개발의 필요성 설명에 나서는 등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LH를 상대로 통합개발을 역설해 왔으나 자금 사정 등을 이유로 수용되지 않자 다음 주 중 국회에서 세교1·2택지개발지구 통합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시는 또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세교1·2지구 계획의 합리적 조정이 세교3지구 지정취소에 따른 조건이었던 만큼 중앙 정부가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설득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세교1·2지구가 신도시급으로 통합개발계획이 수립돼야만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임대아파트 비율도 20% 미만으로 낮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 세교1지구의 자족시설 분양률이 0%인 점을 감안할 때, 통합개발을 해야만 자족시설 분양도 활성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자금 사정 등으로 2014년이나 착공 예정인 세교2지구의 조기 착수도 유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시는 세교1·2지구를 통합개발해야만 공공디자인 및 경관계획을 적용, 미관품격을 높일 수 있어 인근 동탄2신도시 등 주변 신도시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LH 측에 세교1·2지구의 통합개발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나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세교3지구 지정취소에 따른 주민들의 실망감을 감속시키기 위해서라도 다음주부터는 국회 및 중앙 정부를 대상으로 한 설득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오산=정일형기자 ihju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