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대출금리 속속 올린다

기준금리 인상 여파… 국민銀 전주보다 0.18%p↑등 가계부채 ‘비상’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일제히 올리고 있어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게 됐다.

 

16일 시중은행들에 따르면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자 국민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대출 금리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 연동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를 17일부터 연 4.73~6.03%로 지난주보다 0.18%p 올릴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CD 금리 연동 주택대출 금리를 연 4.26~5.58%에서 연 4.32~5.64%로 인상한다.

 

신한은행도 CD 연동 주택대출 금리를 지난 10일 연 4.4~5.80%에서 17일 연 4.52~5.92%로 인상할 계획이다.

 

전세자금 대출 금리와 신용대출 금리도 줄줄이 인상된다.

 

국민은행의 6개월 변동금리형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지난 14일 연 5.09∼6.39%에서 이번주 5.19∼6.49%로 0.10%p 오른다.

 

신한은행은 전세보증대출 금리를 연 5.22~6.72%로 지난 10일보다 0.12%p 상향 조정했다.

 

우리은행의 CD 연동 ‘직장인 우대 신용대출’ 금리는 0.06%p 인상된 연 6.07~9.02%가 17일부터 적용된다.

 

이 같은 대출 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한데 따른 것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p 올린 지난 13일 CD 금리는 연 2.98%로 0.18%p 뛰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 14일 연 3.69%로 이틀간 0.15%p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빚 부담이 커지는 만큼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인 금리 인상과 함께 저소득층에 대한 금리 우대, 가계부채 구조조정 등 보완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G경제연구원은 개인이 금융권에서 빌려 쓴 금융부채가 작년 말 978조원으로 3개월 전보다 22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기준금리 1%p 인상 시 개인의 연간 이자부담은 5조5천억원 늘어난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심각한 수준”이라며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려 유동성을 축소하되 저소득층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책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jh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