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부실 책임 추궁’ 방침에 불안 고조… 증자계획 수립 등 자구책 마련 활발
저축은행 구조조정 종합대책 발표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기도내 저축은행들이 초긴장하고 있다.
인수 합병 등이 이뤄질 경우 퇴출이나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3일 도내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해 자구노력이 미진한 저축은행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 전해지자 저축은행들이 추가적으로 증자계획을 수립하는 등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금융당국은 예금보호기금 공동계정까지 설치하면서 저축은행을 구조조정하는 것에 대해 특혜시비를 없애기 위해 부실 저축은행 경영주에 대한 책임 추궁을 끝까지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불안감은 더 고조되고 있다.
실제 일부 매각 대상에 오르내리는 저축은행들은 매각가 재산정에 들어가는가 하면 추가적으로 증자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도 몇몇 저축은행들이 증자를 하긴 했지만 적극적인 것이 아니었다”며 “지금은 자구노력으로 건전성 기준을 맞추지 못하면 일방적인 구조조정을 당할 것을 염려해 적극적으로 자구노력을 재검토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현재 경영개선권고(BIS비율 5%이하) 대상이 아니더라도 앞으로는 BIS비율이 떨어지면 ‘유예기간’이 없이 바로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된다는 긴장감이 있다”며 “선제적인 증자방안을 강구하는 저축은행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계획이 발표되면서 저축은행의 돈을 맡긴 투자자들의 문의 전화도 잇따르고 있다.
성남의 A저축은행 관계자는 “정부 구조조정 계획이 발표되자 불안해진 고객들이 예금에 대한 안전성 여부를 묻는 전화가 걸려 오고 있다”며 “이들은 대부분 거래를 처음하거나 얼마 안된 예금자로 오랫동안 거래한 고객들의 동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얀양의 B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미 2009년말 저축은행 부실이 공론화 됐을 때 5천만원 이상 예금자들은 예금을 많이 찾아갔다”며 “추가적인 예금인출 상황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