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어선 감척 수용해 달라”

조업 포기한 연평도 어민들

북한의 포격으로 조업을 중단했던 연평도 어민들이 어선 수용을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10일 연평도어민회와 옹진군 등에 따르면 연평도 어민들은 남북한 긴장으로 인해 연평어장에서 조업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어선 수용을 농림수산식품부와 옹진군 등에 요구하고 있다.

 

연평도 어민들은 남북한 긴장으로 선원조차 구할 수 없어 연평어장에서 조업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신승원 연평도어민회장은 “어민들이 자발적으로 어선을 수용할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나선 건 생활권을 포기하겠다는 선언과 같다”며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생업을 포기하는만큼 보상액은 결코 많지 않다”고 주장했다.

 

연평도에는 현재 꽃게잡이 닻자망 어선 33척을 포함해 모두 46척이 조업허가를 받고 있다. 연평도어민회에 자발적 감척을 요구한 어선 수는 전체 46척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0척에 이르고 있다.

 

어민들은 어선과 어구를 포함해 1척 당 8억~8억2천만원을 보상액으로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포격에 따른 연평도 어민들의 어선 감척 보상액은 최소 160억원에 이르는 셈이다.

 

옹진군과 농림수산식품부는 어민들과 지난해 12월부터 3차례 실무협의를 벌였지만, 어민들의 보상 요구액이 과도하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어선 1척별 3년치 어획량과 어업손실액, 배값 등을 고려해 최대 2억5천만원 이상을 보상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옹진군 관계자는 “연평도 어민들이 서해어장 어획량 자연 감소와 중국어선들의 횡포, 남북한 안보불안 등으로 생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건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며 “하지만 보상액 차이가 과도한만큼 실제 어선 감척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창열기자 tree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