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예금증가 의혹·한나라 인사청문위원 전관예우 구성” 한나라 “인신공격·정치공세성 안돼… 증거 먼저 내놓아야”
국회 인사청문회를 일주일여 앞둔 가운데 야당은 일부 후보의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자진사퇴 등을 지속 요구하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은 후보자 낙마시 불어닥칠 후폭풍을 우려, 야당의 정치공세 사전차단에 나서 여야가 정면충돌 양상을 빚고 있다.
민주당은 9일 ‘1차 타킷’인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해 집중 공세를 퍼부었다.
정 후보자 인사청문위원(유선호·전병헌·박선숙·조영택)들은 이날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급여소득외 출처가 불분명한 예금증가 의혹을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위원들은 “정 후보자가 지난 2007년 1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4년간 예금만 7억1천만원이 증가했다”며 “같은 기간 총소득 10억1천만원 중 세금 등 기본지출비만 4억9천만원으로 예금증가 가능액은 5억2천만원이기 때문에 최소 1억9천만원은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춘석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정 내정자가 민정수석으로 있을 당시 민간인 사찰 내용이 청와대에 보고됐고, 한달에 1억원이라는 고액 연봉을 준 법무법인 ‘바른’은 현 정부 들어 여권의 주요사건을 독식하면서 급성장했다”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또한 정 후보자의 한나라당 인사청문위원 구성을 문제삼았다. 한나라당은 인사청문위원장인 최병국 의원과 정진섭(광주)·이상권(인천 계양을)·권성동·김효재·성윤환·유정현 의원 등 7명으로 구성됐다.
이 대변인은 “7명 중 최 위원장을 제외하고도 검찰출신이 3명(성윤환·권성동·이상권)으로 검찰 전관들로 구성한 전관예우 청문회”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철저한 검증은 하되, 정치공세는 용인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거듭 피력했다.
정 후보자 인사청문특위 한나라당 간사인 정진섭 의원은 “‘아니면 말고’식의 정치공세는 용인하지 않겠다”면서 “민간인 사찰 관련 의혹 등에 대해서도 야당은 먼저 증거를 내어놓아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안형환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국회의원은 각자가 국민들께 책임을 지는 헌법기관으로, 봐주기 청문회란 있을 수 없다”면서 “모든 문제들을 철저히 질문하고, 후보자의 답변을 듣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 대변인은 또한 “이번 청문회가 인신공격성, 정치공세성 청문회가 돼서는 안 되고, 특히 이명박 정부를 흔들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도 안 된다”며 “한나라당은 이번 청문회가 후보자의 자질과 정책능력, 도덕성을 검증하는 청문회 본연의 목적에 맞는 청문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거듭 피력했다.
한편 야당이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에 포화를 집중하고 있는 탓에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공세는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양평·가평)는 야당 내에서도 벌써부터 “무난하다”는 평가가 나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