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우 “구제역 피해지역 특별재난구역으로 선포해야”

정가산책

한나라당 김영우 의원(포천·연천)은 26일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사상최대의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 위한 가축전염병예방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가축전염병 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응급조치에 필요한 인력·장비 등의 지원을 충분하고도 신속할 수 있도록 하며,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고용 및 가축 전염병 예방 교육 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또 구제역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필요한 지원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김 의원은 “구제역의 확산은 축산농가의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해당 지역의 경제에 미치는 간접적인 피해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국가 전체에 미치는 경제적·사회적 피해가 막대한 실정”이라며 “구제역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구제역 발생시 해당 지역을 신속하게 특별재난구역으로 선포해 구제역 확산을 차단하고 피해를 신속히 지원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민주당 정장선 의원(평택을)은 26일 평택 고덕에 삼성 ‘첨단업종 산업단지’가 조성되는 것(본보 24일자 1면)과 관련, “삼성전자의 투자결정은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에 대한 최대의 지원”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의정서신’을 통해 이같이 말하고, “몇 년 동안 이를 위해 정말 물불을 가리지 않고 뛰었다. 정부를 상대로 그리고 삼성을 상대로 무한정 질주를 해왔다”고 회고했다.

 

그는 이어 평택이 미군이전 결정으로 극도로 혼란을 겪은 경험과 정부에 대한 경제적 지원요청, 자신이 제출한 ‘평택지원 특별법’이 우여곡절 끝에 국회를 통과한 과정 등을 소개했다.

 

특히 그는 건설교통위(현 국토해양위) 여당 간사였고 4정조위원장이었던 시정에 정부와 몇 개월간 협상끝에 430만평의 산업단지를 받아내고, 2006년부터 경기도와 함께 삼성유치 작업을 착수했으며,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고 삼성이 평택유치를 최종결정하게 된 숨가빴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정 의원은 “삼성의 평택 투자 의미는 아주 중대하다. 안보를 위해 지역이 희생할 경우 이런 지원이 있다는 것, 기지촌 경제가 아닌 첨단산업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해 주는 것”이라며 “지역주민에게는 미군기지 이전이 지역에 도움이 됐다는 인식을 갖게 해 지역안정과 한미 동맹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