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광역급행철도) 착공·낙후지역 개발 ‘속도’

경기·인천·서울 ‘광역경제권 발전 협약’ 체결

경기도와 인천시, 서울시 등 수도권 3개 광역자치단체가 광역급행철도(GTX) 조기 착공과 낙후 시·군의 수도권범위 제외, 자연보전권역 재조정 등 현안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협약식’을 체결했다.

 

3개 광역지자체는 4월12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김문수 경기지사, 안상수 인천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수도권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협약서’를 체결하고, 수도권을 둘러싼 18개 과제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3개 광역지자체는 협약식에서 ▲수도권 간선철도·도로 등 광역교통 및 물류인프라 조성 ▲대기·수질오염 등 환경문제 공동 대응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혁파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산하 별도 추진기구 설치 등 4가지 기본 원칙에 합의했다.

 

이어 김 지사가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광역교통망 조성(GTX), 광역물류망 구축, 광역환경기초시설 공동조성 및 운영과 더불어 수도권의 과밀억제·성장관리·자연보전 3개 권역의 합리적 재조정, 낙후된 인천광역시 강화·옹진군과 경기도 4군(연천·여주·양평·가평)·1시(동두천) 등 7개 시·군이 수도권정비계획법상 수도권 범위에서의 제외 등 7대 개혁과제를 선정했다.

 

이를 위해 3개 광역지자체는 수도권 광역발전위원회 내 ‘수도권 광역인프라 기획단’과 ‘수도권 경제규제혁파 공동추진위원회’ 등 공동추진기구를 출범키로 했다.

 

수도권 광역인프라 기획단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계획을 수도권 전반에 걸친 계획으로 통합, 개편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수도권 경제규제혁파 공동추진위는 수도권 관련 규제의 폐지·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가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규제개선과 GTX, 낙후지역 발전 등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늦은 감이 있지만 이번 협약을 계기로 자치단체의 경계와 국경을 넘어 국민이 웅비하고 선진 통일국가로 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